지역

도청 이전으로 터전 잃는 이주민 마을 학곡리 조성 추진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학곡리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인근 국·공유지 활용
집 지을 땅 조성해 2025년 내 주민 이주
춘천시 지난달 말 1차 보상협의회 열어 본격 협의 착수

◇강원자치도청 청사 이전과 행정복합타운이 조성되는 춘천시 동내면 고은리 일대. 사진출처=강원일보DB.

【춘천】 강원자치도청 청사 이전으로 터전을 잃게 될 이주민들을 위한 마을이 동내면 학곡리에 조성이 추진된다.

도는 도청 청사 건립과 진입 도로 개설로 이주가 불가피한 25개 가구를 위한 이주 단지를 학곡리 춘천출입국·외국인사무소 인근 국공유지에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해당 부지는 기획재정부 소유의 일반 재산으로 이미 매각이 추진되고 있어 큰 제약 없이 확보할 수 있다. 춘천시 소유의 일부 부지는 도와 시의 협의가 이뤄지고 있다.

이주 단지는 집을 지을 수 있는 땅을 만들어주는 개념으로 주민 보상금을 단지 조성 비용으로 사용한다. 도는 사전 주민 협의를 통해 후보지를 선정했고 입주 희망 의사 등을 검토해 내년 3월께 사업지를 최종 확정할 방침이다. 주민 이주는 청사 건립 토목 공사가 시작되는 2025년 말보다 앞서 진행될 예정이다.

이들 가구를 제외한 고은리 행정복합타운 예정지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개발 기간에 맞춰 퇴거한 뒤, 행정복합타운 내 택지 우선 분양 등을 통해 거처를 다시 마련할 수 있다.

춘천시는 지난달 말 도청 신청사 건립 사업 제1차 보상협의회를 열고 본격적인 보상 협의에 착수했다.

이번 협의회에서 토지 소유주들은 앞서 시행된 지장물 조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며 재조사 필요성을 제기했고 보상 시기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요구했다.

보상협의회 위원장을 맡은 백창석 부시장은 보상 업무 추진 일정과 관련해 토지 소유자의 의견을 추가 수렴해 시기를 결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한편 동내면 고은리로 이전하는 도청 청사는 2028년 준공을 목표하고 있다. 주변 지역 개발은 2030년 마무리될 계획이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