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원주교육지원청이 이전하는 현 부지에 공립단설유치원을 설립(본보 지난 15일자 4면 등 보도)하려던 강원교육당국의 계획이 전면 백지화됐다.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은 최근 열린 ‘2024년 정기 1차 중앙투자심사위원회’에서 원주교육지원청의 청사 이전에 따른 단설유치원 설립 계획 심사결과, ‘이전적지 활용계획 전면 재검토 보고 후 추진’으로 결정됐다고 29일 밝혔다. 원주교육청 이전은 계획대로 추진하되, 현 부지에 단설유치원 설립이 아닌 다른 활용방안을 찾아 다시 보고하라는 뜻이다.
단설유치원 백지화 결정과 관련해 도내 교육계에서는 희비가 엇갈렸다.
한국유치원총연합회 강원지부장을 맡고 있는 현각 스님은 “중투위의 현명한 결정에 환영의 뜻을 밝힌다”면서 “원주교육청 이전적지에 유아 생존수영장, 어린이 전용 공연장·박물관 등 지역 내 모든 원아가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 들어서길 소망한다”고 말했다.
반면 조영국 전교조 강원지부 정책실장은 “원주는 춘천, 강릉과 비교해 전체 원아 수 대비 공립단설유치원 수가 가장 적은 곳”이라며 “중투위 결정은 공립유치원 대기수요가 많은 원주시민들의 바람을 저버린 것이라 상당히 안타깝다”고 전했다.
앞서 도교육청은 원주교육청을 옛 학성초 부지로 이전하면서 현 청사 활용 방안으로 인근 공립병설유치원을 통합해 14학급 규모 공립단설유치원 설립을 추진했다.
이 계획이 지난해 2023 제4차 중투위에서 ‘단설유치원 설립수요 재검토’ 등의 요구조건을 단 채로 통과되자 도내 교육계는 ‘해당 유치원 건립을 철회해야 한다’는 사립유치원측 주장과 ‘설립 규모를 축소해선 안 된다’는 공립유치원측 주장이 팽팽히 맞서왔다.
도교육청은 이전적지 활용계획을 다각도로 검토 및 보완해 차후 중투위에 재보고하고, 원주교육청 이전은 신속하게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김성호 행정과장은 “원주교육지원청 신청사 건립은 더 나은 교육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물론, 원도심 활성화 및 균형발전에 기여하는 만큼 빠르게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