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4·10총선을 43일 앞둔 27일에도 여야가 선거구 협상의 실마리를 찾는데 실패했다. 국회 의석 확대 및 비례대표 의석의 지역구 전환 등 여러 대안이 나왔지만 모두 불발되면서 강원특별자치도내 '공룡 선거구' 탄생(본보 27일자 3면 등 보도)에 대한 공포감이 더욱 커지고 있다. ▶관련기사 3면
■선거구 획정안 합의 불발=국민의힘 윤재옥 원내대표와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김진표 국회의장 주재로 회동했지만 선거구 획정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윤 원내대표는 강원 선거구 현행 유지 등 기존 여야 합의가 이뤄진 '특례 4구'만이라도 수용할 것을 민주당에 요구했지만, 홍 원내대표는 이를 거부하고 선관위 획정위가 국회에 제출한 원안대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선거구 획정위는 서울·전북에서 각 1석을 줄이고, 인천·경기에서 1석씩 늘리는 획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강원 8개 선거구는 춘천 갑·을(단독분구), 속초-철원-화천-양구-인제-고성, 강릉-양양 등으로 나눴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요구하는 부산 의석수 1석 감축을 수용할 수 없다며 '비례대표 의석수를 1석 줄여 전북 의석수를 유지하자'고 제안했으나 민주당은 이를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김진표 국회의장이 비례대표 47석에 지역구 의석을 1개 늘려 254석으로 하는 '의원정수 301석'을 중재안으로 내놨으나 이 역시 여당이 '수용 불가 '입장을 밝히면서 무산됐다.
오는 29일 본회의에서 선거구 획정안 처리가 이뤄져야 하는 상황에서 여야가 한치의 물러섬 없는 '강대강' 대치를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특히 민주당 홍익표 원내대표는 이날 의원총회에서 "선거구 획정을 29일에는 반드시 처리하겠다"며 "획정위 원안을 바탕으로 여러 가지 협의를 하겠지만, 어쩔 수 없는 경우에는 원안 처리할 수밖에 없다"고 못박았다.
■공룡선거구 가능성 “도민 우롱 처사”=이대로 가면 획정위가 제시한 원안이 본회의에서 처리돼 강원에서는 6개 시· 군이 묶인 '공룡 선거구'가 탄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총선 주자와 지역 유권자들의 혼란을 불러오는 것은 물론 여야의 공천 작업에도 영향을 미쳐 대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지역 정치권에서는 강원도를 무시하고 도민을 우롱하는 처사라며 분노를 표출하고 있으나 뾰족한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김진태 지사는 지난 26일 기자 브리핑에서 "6개 시·군을 묶는 공룡선거구는 강원도민을 무시하는 처사"라며 "개인적으로는 비례대표 1석을 줄여 강원도에 1석을 늘려주는 것도 충분히 안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선거구 변동 가능성이 있는 지역 주민들도 상경 투쟁과 '총선 보이콧'을 추진하고 있지만 아직 이렇다할 움직임은 없는 상황이다.
국민의힘 이양수(속초-인제-고성-양양) 의원은 "만약 내일(28일)도 여야 협상 타결이 안된다면 3월 초로 미뤄서라도 강원 선거구의 현행 유지를 위해 원안이 반드시 수정되어야 한다"고 했다.
더불어민주당 허영(춘천 갑) 의원도 이날 의원총회에 참석해 "춘천 단독 분구는 환영할 만한 일 이지만 6개 시·군이 묶인 공룡 선거구 탄생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합리적으로 조정 될 수 있도록 협의해 달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