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0 총선이 끝난 지 40여일 지났다. 강원특별자치도에서 가장 뜨거웠던 원주시는 결과적으로 달라진 게 없다. 스스로 ‘반쪽짜리 초선’이라 여겼던 박정하 의원은 어엿한 재선 의원이 됐고, 재선인 송기헌 의원은 ‘3선 고지’를 밟고 당내 중진으로 도약하게 된 것이 가장 큰 변화라 할 수 있다.
총선이 마무리되면서 불현듯 ‘원주시가 걱정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총선 이후 국회의원 당선자의 공약이 어떻게 이행될지, 원주 발전에 어떻게 적용해 나가야 할지 등 지역 현안을 슬기롭게 풀어가야 할 건설적인 어젠다가 보이지 않는다.
총선 후 원주시 분위기가 묘하다. 벌써부터 2년 뒤 지방선거가 회자되며 곳곳에서 갈등이 생성되고 있다.
원주시의회 제248회 임시회가 도화선이 됐다.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심의한 이번 임시회에서는 소관 상임위 심사에서부터 주요 예산이 줄줄이 삭감되자 시 집행부가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올해 2회째 맞이하는 원주만두축제는 좌초될 위기에 처했었다.
예산결산특위가 가동되면서 시는 삭감된 예산을 살리기 위해 부랴부랴 부산을 떨어야만 했고, 결국 존폐 위기에 놓였던 만두축제는 예산 일부를 삭감하는 선에서 기사회생했지만, 공원 주차장 조성 등 역점사업은 또다시 좌초되고 말았다. 공무원이 예산 수립을 위해 시의원을 상대로 접촉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본인 사업의 예산을 지키는 것이 급선무인 상황에서 시 전체적인 예산 상황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일까지 맡길 수 없다. 예산안이 제대로 편성됐는지 확인하는 절차는 시의회의 고유 권한이다. 시의원에게 전적으로 예산 삭감의 책임을 묻는 것은 무리가 있다. 다만 이 과정에서 최우선 고려 대상인 시민보다 정략적인 판단이 앞서지 않았는지 끊임없이 묻고 답을 구해야 한다.
시 집행부는 예산을 편성하면서 숱한 고민과 논의를 했을 것이다. 이러한 노력을 몰라주는 시의회에 어쩌면 야속한 마음이 들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원주시의 정무라인은 어떤 역할을 했을까. 보이지 않았다.
최근 열린 원주시와 국민의힘 간 당정협의회에서 박정하 국회의원은 “국회의원 임기 동안 시장 정무라인과의 협의가 단 한 차례도 없었다. 어느 누가 그 역할을 하는지도 모르겠다”며 쓴소리를 했다. 원주시 입장에서 귀 담아들어야 할 대목이다.
정무라인의 역할은 공직자의 한계인 정무적 영역의 문제 해결이 핵심이다. 제대로 된 정치력의 부재는 갈등 증폭의 요인이 될 수 밖에 없다. 현재 이러한 모습에 안타까운 마음이 앞선다. 시청 안팎에서 정무라인 역할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다 높다. 시의원은 물론 국회의원, 도의회 등과의 협업 체계를 구축하려는 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민선 8기 반환점을 맞이하는 시점에서 현재의 정무라인을 대폭 정비해야 한다는 데 힘이 실리고 있다.
정무라인 강화는 야합을 하라는 얘기가 아니다. 시의원과 언론, 공직사회, 지역사회 동향 등 시정과 관련된 여론을 제대로 파악해 시장이 올바른 판단과 행정 추진을 위한 일을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는 의미다.
원주시는 즉각 정무라인을 바로 세워라. 내가 옳다는 생각을 버리고, 소통에 나서라는 얘기다. 정무적 역할은 ‘어공’과 ‘늘공’의 조화를 이루는 일이다. 정무라인이 너무 강조된다면 일 중심의 공무원 조직이 흔들릴 가능성이 있다. 그 반대는 정치력 실종으로 휘둘리기 일쑤다. 부디 각자의 위치에서 해야 할 ‘일’을 기억해 달라.
민선 8기 반환점을 맞아 미국을 방문 중인 원강수 원주시장의 고민이 클 수밖에 없다. 변화가 필요한 시점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역동성을 발휘해 주길 바란다.
총선이 끝난 시점에서 선출직 공무원과 시의원들은 자연스레 2년 뒤 지방선거가 눈앞에 보이기 시작한다. 아직 임기가 절반밖에 지나지 않았다. 선거용 입신양명(立身揚名)이 아닌, 위민행정(爲民行政)이 우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