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강원특별자치도가 ‘반도체공동연구소’ 유치를 통해 현재 원주권에 집중된 ‘강원형 반도체 클러스터’조성 사업의 춘천권 확장을 꾀한다.
강원특별자치도에 따르면 강원대는 지난 14일 교육부에 반도체공동연구소 유치 신청서(본보 지난 11일자 21면 보도)를 제출했다.
반도체공동연구소는 국내 반도체 연구·교육의 심장인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와 연계·협업해 지역 거점 역할을 한다. 국립대학을 지정하며 2028년까지 대학 1곳당 444억원의 국비가 지원되는 대형사업이다.
지난해 1차 공모에서는 전남대, 부산대, 경북대, 충남대가 선정됐으며 강원대는 고배를 마셨다. 강원대는 올해 공모에 재도전했으며 전북대, 충북대, 경상대, 부경대, 제주대와 경합을 벌인다. 2곳 선정을 예고해 경쟁률은 3대1이다.
유치 확정 시 강원대, 강원도, 춘천시가 공동 운영하게 된다. 이를 위해 김진태 지사와 육동한 춘천시장, 김대중 강원대 총장 직무대행 등은 지난 주 ‘강원권 반도체 공동연구소 건립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강원자치도는 반도체공동연구소 유치에 상당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김진태 도정의 핵심 정책인 ‘반도체 클러스터’ 구축이 사실상 원주권에 국한돼 있었으나 이를 춘천권으로 확대할 수 있는 절호의 찬스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올해가 사실상 마지막 공모라는 점에서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탈락의 고배를 마실 경우 반도체산업 육성에 올인하고 있는 강원자치도에는 치명타가 될 수도 있다.
도는 정부가 경기도 용인에 추진 중인 반도체 메가클러스터, 서울대와 가장 인접한 교육 거점이 강원대라는 점, 올 7월부터 임시 가동하는 반도체교육센터와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점을 교육부에 적극 어필하고 있다. 전국에서 강원권에만 유독 정부 주도의 반도체 인력양성 지원사업이 없다는 점도 지역균형 차원의 지정 당위성을 높인다. 교육부는 오는 27일 1차 서면평가를 통해 4곳의 후보대학을 추린 후 7월3~4일께 2차 발표평가를 거쳐 7월 둘째주 최종 결과를 발표할 전망이다.
강원자치도 관계자는 “강원형 반도체 클러스터는 춘천은 교육 연구, 강릉은 소재 부품, 원주는 기업의 제조 중심 단지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라며 “이를 위해서는 강원대 반도체공동연구소 유치가 필수”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