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복귀하지 않는 전공의, 의료개혁 원칙대로 추진을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지역 4개 병원 전공의 중 정부가 제시한 전공의들의 최종 사직 처리 마감 시한인 15일까지도 복귀한 전공의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날 오후까지 취합 결과 전공의 1명은 사직 의사를 재차 밝혔고, 대부분의 전공의는 연락조차 받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상 요지부동인 셈이다. 각 대학병원에서는 인력난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정부는 9월 전공의 추가 모집을 통해 모자란 인원을 보충한다는 방침이지만 비수도권에서는 이미 인력 모집에 난항이 이어지고 있어 결원에 대한 충원 여부도 장담하기 힘들다.

전공의들의 대량 사직이 이제 기정사실화한 만큼 그 공백을 메꾸기 위한 비상진료체계를 촘촘히 세워야 한다. 대학병원은 사실상 교수들과 전임의 일부, 간호사들로 간신히 버티고 있다. 환자들은 전공의 감소로 이미 진료시간마저 조정돼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농어촌의 경우 자신들의 건강을 보살피던 공보의들이 대거 수도권 대학병원으로 차출되면서 처방 하나 받는 데도 불편이 커지고 있다. 정부가 대형병원 전공의들의 이탈을 이유로 농어촌지역 공보의를 차출하면서 도내 농어촌의 의료 공백이 심각해진 현실에서 신규 공보의 배치 인원까지 줄면서 지역 의료에 비상이 걸린 상태다. 공보의 1명이 사실상 지역민 건강을 책임져 오던 농어촌 읍·면·리 지역의 진료 차질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지자체에서는 공보의 파견으로 생긴 의료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순회·원격진료 등을 강화하고 있지만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으로 전공의 복귀가 이뤄지지 않아 지역 주민들의 건강이 위협받고 있다.

정부는 그동안 전공의 복귀에 방점을 두고 각종 명령 시행, 행정처분 예고와 철회 등 강온책을 써 왔지만 전공의들은 여전히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등을 요구하며 돌아오지 않고 있다. 덩달아 수도권은 물론 비수도권의 의료 공백도 커지고 있다. 전공의 공백 사태가 얼마나 길어질지는 예단하기 쉽지 않다. 지금부터는 의료 공백을 어떻게 메워 나갈지가 중요하다. 자칫 내년엔 군의관·공보의 배출이 반토막 날 가능성도 있어 현실적인 대책이 시급하다. 특히 정부는 지난 11일 의료개혁특위가 발표한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 시범사업’ 계획의 방향성을 유지하며 원칙대로 의료개혁을 추진해야 한다. 현 전공의들의 복귀 여부, 그리고 향후 전공의 지원 증감 여부에 상관없이 상급종합병원이 ‘전문의’ 중심 병원으로 가야 하는 것은 이번 의료 공백 사태를 통해 미룰 수 없는 과제임이 확인됐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파리올림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