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코로나 때보다 힘들다" 개인회생 신청 급증

대법원에 따르면 상반기 강원지역 개인회생신청 1,865건
코로나 팬데믹 시작 2020년보다 55.4% 늘어나

사진=강원일보db

원주에서 배달음식점을 운영하던 A(49)씨는 최근 2년 간 코로나 때도 체감하지 못했던 불황으로 경영난에 시달렸다. 빚을 갚기 위해 대출, 카드 등으로 돌려막기로 버티던 A씨는 결국 올 2월 개인회생을 신청했다. A씨는 “고금리에 인건비 상승까지 겹쳐 빚이 눈덩이처럼 불어났다”며 “더 이상 버티지 못해 개인회생 절차를 밟고 있다”고 말했다.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3고(高) 경제위기로 올해 강원지역 상반기 개인회생 신청과 법인파산 신청이 코로나 팬데믹 때보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대법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강원지역 개인회생 신청은 1,865건으로 지난해 상반기 접수된 1,672건보다 200건 가까이 증가했다. 코로나가 급격하게 확산되기 시작한 2020년 상반기 1,200건보다 55.4% 늘어났다.

실제 춘천지역의 한 법률사무소도 최근 개인회생, 파산신청 관련 상담 건수가 지난해보다 20% 가까이 증가했다.

강원지역 법인 파산 신청 건수도 6건으로 지난해 상반기 1건보다 6배 늘었다. 지난 한해 동안 접수된 7건과 비슷한 수준이다. 또 2020년 법인 파산 신청 총 건수 5건보다도 많다.

이는 코로나19 사태에 이어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3고(高) 경제위기가 닥친데다 전기요금과 인건비 등의 부담이 가중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대출 금리가 큰 폭으로 오른 탓에 중소기업 금융 부담은 더 커졌고 연체율은 높아지고 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집계 결과 올해 1분기 예금은행 기준 도내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38%다.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1분기부터 0.3%대를 보이는 등 2020년 1분기 0.23%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분간 고금리가 이어지고 내년에 최저임금 ‘1만원 시대’가 도래할 예정이어서 경영 환경이 개선되지 않는 한 중소기업 파산 신청과 개인회생 신청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노민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사업성은 있지만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들은 재무 개선과 사업 재생을 위한 신속하고 유연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