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용인 반도체 산업단지에 강원도 물 이어 전력까지 끌어가…주민 의사 무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동해안 발전소 생산 전기 신강원~신원주·동용인(138㎞) 구간 공급…예타 면제
환경부, 올해부터 10년간 화천댐 발전에 이용된 물 용인 반도체 산단 공급 계획
화천군의회·번영회 "댐 방류량 늘어나면 관광산업 퇴보…그냥 넘겨줄 수 없다"

화천댐

속보=정부가 경기 용인시에 조성될 반도체 산업단지의 용수로 화천댐물을 끌어다 쓰겠다고 발표한데(본보 지난 2월26일자 1면 등 보도) 이어 동해안 생산 전력을 용인 반도체 산업단지에 공급될 수 있도록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했다.

전력을 동해안에서 강원도를 거쳐 용인까지 끌어가겠다는 구상인데 기존 동해안~신가평 송전선로가 지연되는 상황에서 강원지역의 의사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한국전력은 29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보고에서 "세계 최대 규모로 조성될 용인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의 신속하고 차질 없는 전력 공급을 위해 345kV 대규모 송전망 건설의 신속한 추진이 필요함에 따라 지난 6월25일 기획재정부로부터 관련 사업 예타 면제를 통보 받았다"고 밝혔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대규모로 팹을 건설하는 용인 클러스터 한 곳에만 수도권 전체 전력의 4분의1에 해당하는 10기가와트(GW)의 전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전은 전력 공급을 위한 세부노선 중 루트1은 신강원~신원주·동용인(138㎞) 구간을 제시했다. 동해안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용인에 공급하겠다는 방안이다. 호남권 태양광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끌어오겠다는 루트2와 루트3 구간도 추진한다.

앞서 지난 2월 환경부는 올해부터 2034년까지 10년간 화천댐에서 발전에 이용된 물을 용인 반도체 산단에 공급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하지만 화천군의회와 번영회 등은 화천댐 방류량이 늘어나면 관광산업이 퇴보하는데다 화천의 물을 수도권에 그냥 넘겨줄 수 없다며 반대하고 있다.

전기 역시 마찬가지다. 특히 한전이 추진하는 동해안~신가평 500kV 직류 장거리 송전망(HVDC) 건설에 대한 주민 반대가 심각한 상황에서 주민 의견 청취 없이 일방적으로 예타가 면제 된 것에 대한 반감도 예상된다.

이와 관련 한전은 올해부터 2027년 입지선정, 2027~2028년 환경영향평가, 2028년 주민 의견 청취, 2028~2029년 실시계획 사업 승인, 2031년 구간별 공사 착수, 2036년 준공을 목표로 제시했다. 반도체 특화단지에 대규모 전력 공급을 위해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강원자치도 관계자는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에 강원도의 지리적 중요성이 재확인 됐다"면서 "송전선로 조성에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