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강원 최대 곡창지역 철원쌀 생산량 감소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여름철 폭염, 추석연휴 가을비로 피해

【철원】강원지역 최대 곡장지역인 철원의 오대쌀 생산량이 올여름 폭염과 최근 내린 비로 인해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철원군에 따르면 올해 벼 생산량은 7만~7만5,000톤으로 지난해 7만5,000여톤 수준에 머물 것으로 전망됐다.

군은 쌀 과다 생산에 따른 가격 하락과 농민들의 소득 보존을 위해 올해 벼 부분휴경제 지원 및 타작물 재배 유도 등 벼 재배 면적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시책을 추진해 왔다. 그 결과 올해 철원지역 벼 재배면적은 9,145㏊로 지난해 9,500여㏊보다 355㏊ 가량 줄었다.

하지만 올 봄 벼 생육이 좋아 수확량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지만 유난히 길었던 여름 더위와 최근 내린 많은 비로 인해 벼 작황이 좋지 않을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추석 연휴 집중적으로 내린 가을비로 도복벼(쓰러진 벼)의 수분 함량이 높아지면서 벼 이삭에 새싹이 돋는 수발아 현상도 발생하고 있다.

이에 군과 지역농협 등은 도복벼로 인한 피해 상황을 파악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군 관계자는 "올해 초 모내기 이후 일조량이 풍부해 벼 생육이 좋았지만 여름 더위가 지속됐고 최근 내린 비로 일부 벼농가에서 도복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농민들이 고품질의 철원쌀을 생산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역 내 4개 농협은 이달초 올해 쌀 수매가를 1㎏ 당 1,820~1,850원으로 결정했다. 이는 지난해 수매가와 같은 것으로 수년째 이어지고 있는 쌀 소비 감소세에 대응하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