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는 최근 5년간 전국에서 가장 많은 초·중·고등학교가 폐교한 지역으로 기록됐다. 향후 5년 내로 초교생 수가 지금보다 20%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문을 닫는 학교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국회 교육위원회 정성국 국회의원이 ‘2020~2024년 시도별 초·중등 폐교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 기간 강원지역에서 초등학교 17곳, 중학교 4곳, 고등학교 1곳 등 총 22개 학교가 폐교했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수치다. 학교는 단순히 교육을 제공하는 공간에 머무르지 않는다.
특히 지방 소규모 학교는 지역사회의 중심적 역할을 한다. 이곳은 아이들이 배우는 장소일 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들이 모여 교류하고 공동체를 형성하는 중요한 공간이다. 학교의 존재는 그 지역의 생동감을 유지하는 데 버팀목이다. 그러나 학생 수가 감소하고 경제적 논리에 따라 학교가 문을 닫게 되면 그 지역은 점차 공동화 현상을 겪게 된다. 학교의 폐교를 논하는 데 있어 학생 수나 경제적 효율성은 중대한 요소일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이 전부는 아니다. 학교는 교육비용의 문제가 아니라 그 지역의 미래를 담보하는 시설이다. 경제 논리로만 학교의 존폐를 판단한다면 이는 장기적으로 지역사회 전체의 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 현재 강원특별자치도를 비롯한 여러 지방의 소규모 학교는 경제 논리에 의해 폐교가 정해지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결정은 당장에는 예산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지만 먼 미래를 고려한다면 지역 공동체의 몰락이라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학교의 폐교를 막기 위해서는 일도양단식의 경제적 논리를 넘어선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지역의 특성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특성화 고등학교 등으로의 전환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원특별자치도와 같은 농촌지역에서는 농업, 산림, 관광 등 지역의 자원과 연계된 교육을 강화하는 특성화 학교가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역 학생들이 자신의 고향에서 전문성을 키우고,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줘야 한다.
또한 교육 당국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의 충분한 예산 지원이 필수적이다. 특히 지방자치단체는 학교가 지역사회의 중심이 되는 만큼 지역 내 교육 환경을 개선하는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맹목적으로 학교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의 경제와 교육을 연결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끌어낼 수 있는 방식으로 예산을 투입해야 할 때다. 그리고 지역 내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학생들에게 실습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내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보다 실질적인 지원이 있어야 한다. 또한 지역 주민들도 학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학교와 지역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결국 학교의 폐교는 그 지역의 소멸을 의미할 수 있다. 그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지역 주민과 지역경제에 돌아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