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구 수입천댐 백지화를 위한 주민 반대 움직임에 강원특별자치도가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주장이 도의회를 통해 제기됐다.
김왕규(국민의힘·양구) 도의원은 14일 도의회 제332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도정질문을 통해 “최근 양구수입천댐반대추진위원회가 진행한 군민 반대 서명에서 양구군민 2만1,000명 중 70%에 가까운 1만4,000명이 서명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양구군민들의 반대 의지를 헤아려 도에서도 반대 의견에 힘을 실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는 “수입천댐 건설과 화천댐 용수의 용인 반도체 산단 공급 모두 수도권 이익을 위한 계획으로 보인다”며 “수도권을 위한 일방적 희생으로 강원도의 경제적, 환경적 피해가 가중되는 일이 되풀이돼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진태 도지사는 “지역주민들에게 이해를 구하고 협의해가는 과정이 이번에는 미흡했다고 본다”며 “향후 정부가 이같은 사업을 진행하고자 한다면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충분한 설명과 피해보상대책이 수반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날 김용래(국민의힘·강릉) 도의원은 도내 소방기관들의 열악한 급식 운영 실태를 지적하며 “급식 운영 관서 확대와 급식 질 개선을 위해 지원 예산을 늘리고 법적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도 조직개편과 관련해서는 “강원자치도의 지역소멸위기 극복과 장기적 발전을 위해 청년정책과 미래모빌리티 산업에 집중해야 하며, 관련 인력 충원과 조직 개편이 수반돼야 한다”고 짚었다.
아동 돌봄 서비스에 대한 도민들의 낮은 만족도를 꼬집은 조성운(국민의힘·삼척) 도의원은 “교육, 복지, 주거가 선순환되는 양육환경 개선을 추진해 아이들과 양육자가 살기 좋은 지역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유보통합 정책을 두고는 “늘봄학교와 지역아동센터, 다함께돌봄센터 간 상생과 협력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최승순(국민의힘·강릉) 도의원은 소멸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인구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며 외국인 정책이 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강원특별법에 이민정책, 비자 등 외국인 관련 내용을 실을 수 있도록 추진해줄 것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