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전문가로 널리 알려진 정선출신 진용선(아리랑아카이브 대표) 커피 아키비스(archivist)가 140년에 걸친 한국 커피 문화사를 정리한 ‘커피, 이토록 역사적인 음료’를 상재했다. 이 책은 한국 커피의 도입과 발전 과정을 통해 한국 사회와 문화를 탐구하고, 커피가 어떻게 한국인의 일상에 깊이 스며들었는지 풍부한 사례로 설명한 한국 커피 역사서라고 부를만 하다. 저자는 한국의 커피 문화가 1880년대 조선에 커피가 소개된 이후 급격한 변화를 거쳐왔음을 강조한다. 당시 커피는 상류층과 외국인들이 즐기던 사치품으로, 고종 황제가 정관헌에서 커피를 즐겼다는 일화는 한국 커피 도입 초기의 상징적인 이야기다. 이 시기 커피는 근대화의 상징으로 여겨졌지만 동시에 망국의 상징이기도 했다.
일제 강점기와 해방 이후, 커피는 상류층뿐 아니라 점차 대중에게도 확산되기 시작했다. 책은 하와이로 이주한 한인들이 커피 농사를 지으며 커피와 맺은 인연을 이야기하고, 도시에서는 다방이라는 새로운 문화 공간이 등장한 사실을 설명한다. 다방은 문인과 예술가들의 아지트로 자리 잡았고, 이곳에서 커피는 예술과 사상의 매개체가 됐다.
저자는 해방 이후 미군의 영향을 받아 커피가 대중화되기 시작했다고 설명한다. 미군의 전투 식량에 포함된 인스턴트커피가 한국에 대량으로 소개되면서, 커피는 점차 일상의 일부로 자리 잡았다. 1970년대에는 동서식품이 인스턴트커피와 믹스커피를 출시하며 커피의 대중화를 가속화됐고, 이 믹스커피가 커피를 쉽게 접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며, 다방에서만 즐기던 커피를 가정과 직장으로 가져오는 계기가 된다.
특히 커피를 일상의 필수품이자 문화적 상징으로 자리 잡게 만든 중요한 전환점이 된 것을 스타벅스의 한국 진출이라고 밝힌다. 이어 이러한 변화 속에서 강릉은 커피 도시로 자리 잡게 되고, 커피는 이제 한국인의 일상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의식이 된다. 진대표는 이 책에서 커피가 단순한 음료가 아니라, 한국 사회와 문화의 일면을 반영하는 역사적 상징이라고 강조한다. 그래서 한국 커피의 여정은 다사다난했지만, 결국 ‘K컬처’처럼 한국인의 정체성과 문화에 깊이 뿌리내리게 된다고 설명한다. 틈새책방 刊. 388쪽. 1만9,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