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 되며 문을 닫는 강원지역 건설업체들이 속출하고 있다. 올해 도내에서는 160개사의 건설업체가 폐업, 9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홍천에서 지반조성·포장공사업을 하던 A업체는 지난 4월 폐업했다. 수익은 고사하고 현상 유지마저 어려워 더는 버티지 못한 것이다. 춘천에서 상·하수도설비공사를 주로 하던 B업체도 회사 경영이 어려워지자 지난 1월 문을 닫았다.
28년 간 건설업을 운영 중인 춘천의 C업체는 올해 처음으로 직원들에게 상여금을 지급하지 못했다. 부동산 시장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공사 수주에 어려움이 컸기 때문이다. A업체 대표는 “연평균 20건의 공사를 수주했는데, 올해에는 입찰 공고 물량이 급감하는 등 악조건이 겁쳐 5건 밖에 못했다”며 “10여명의 직원 월급 주기도 빠듯한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1일까지 도내 폐업 신고한 종합·전문건설업체는 총 160곳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35곳) 보다 25곳(18.5%)이 증가했다. 폐업한 건설업체는 2015년(198건) 이후 9년 만에 가장 많았다. 폐업을 신고한 업체의 대다수는 ‘사업 포기’였다.
이는 그동안 원자재 값과 인건비 상승, 고금리 등으로 비용은 크게 늘어난데 비해 부동산 경기 침체로 민간 공사가 줄어든 영향이 크다. 더욱이 정부를 비롯한 자치단체도 허리띠를 졸라매며 각종 관급공사도 급감, 발주물량이 급감했다. 실제 2023년 도내 건설계약 규모는 9조9,190억원으로 2022년 10조2,520억원 보다 3,330억원 줄었다.
건설업계는 가뜩이나 어려운 상황에서 비상계엄 사태로 인한 탄핵 정국까지 이어지는 악재가 겹치며 어려움이 더욱 커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 관계자는 “탄핵 정국 장기화는 건설시장에 치명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건설산업의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변화관리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