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기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14일 차기 정권은 내란 종식에 힘을 보탰던 세력이 모여 연합정부·연립정부로 가야 한다는 뜻을 밝혔다.
김 전 지사는 이날 MBC 라디오에 나와 '만약 대선에서 승리한다면 이후 연합정부, 연립정부로까지 가야 한다는 입장이냐'는 질문에 "그렇게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 운영 과정에서도 촛불혁명에 함께 했던 세력이 연대해 국정 운영에 참여했어야 하는 것 아니냐 하는 아쉬움이 있다"며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단계부터 촛불혁명에 참여했던 정치 세력과 시민사회가 함께하고, 거기서 정책을 논의하고 합의해서 내각 구성도 공동으로 하는 등 연정으로 출범했더라면 지금 대한민국의 모습이 많이 달라지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때 하지 못했던 촛불 연정을 이번에는 반드시 빛의 혁명에 참여했던 세력들이 공동으로 연정을 통해서 대한민국의 사회 대개혁, 국가 대개조를 함께 추진해나가야 성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전날 대선 출마를 선언하며 행정수도 세종 이전을 공약한 김 전 지사는 "국회와 대통령실까지 이전해 행정수도를 마무리하는 게 대한민국 전체 구조를 짜는 데 확실히 도움이 된다"며 "개헌을 하지 않더라도 특별법으로 추진하는 방안도 있다"고 했다.
차기 정부의 용산 대통령실 사용 여부와 관련해선 "단 하루도 사용해서는 안 된다"며 "내란의 상징"이라고 주장했다.
김 전 지사는 "어느 나라도 대통령과 국방부장관, 합참의장 등 소위 전시 지휘체계에 해당하는 핵심 인사들이 한 곳에 몰려 있는 나라가 없다"며 "유사시에 한꺼번에 사고를 당하는 일이 생기지 말란 법이 없겠냐. 그래서 다 분산시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용산은 더 이상 대통령실로서 기능할 수 없다"며 "서울에 집무실을 두고 세종 집무실도 함께 운영하는 방법이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