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는 기후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가 한반도를 엄습한 해 인거 같다, 극심한 고온건조에 서풍을 일으키는 남고북저형 기압배치는 대형산불 발생의 주요 원인이기 때문이다. 지난 3월 14일 청도 산불을 시작으로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인 산불이 발생해 10만여ha 이상의 광범위한 임야가 전소된 대화재 사건이며, 대한민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산불이며, 역대 가장 많은 인명·재산 피해를 불러 일으킨 산불이다. 이렇게 매년 대형산불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일까? 그것은 산불예방에서 초동진화에 이르기까지 산불방지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첫 번째는, 임도시설 밀도가 낮다, 숲이 울창하고 산세가 험한 강원자치 도에서는 산불진화는 물론 각종 산림사업 추진을 위해 임도시설 확대가 절실하다.(산림 100ha당 임도 3.3Km로 선진국 대비 낮는 수준)
두 번째는, 산림경영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10년 단위 산림기본계획”이 국유림과 민유림 즉 소유별로 별도 작성한다, 강원특별자치도 전체면적의 약 82%를 차지하고 있는 산림에 대해서 강원자치도를 책임지고있는 강원 자치도지사가 전체 산림에 대해서 디자인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산림청 소관 국유림 54%는 산림청장이, 민유림(공·사유림) 46%는 강원자치도지 사가 이렇게 소유별로 산림기본계획을 수립하다보니, 도민 소득증대 및 효율적인 산림경영과 산불방지에 어려움이 많다.
세 번째는, 산불방지 업무의 이원화이다, 강원자치도에 소재하고 있는 산 림에 대해 국유림과 민유림으로 구분해서 별도의 예산과 인력을 투입하고 있다, 그러나 광역자치단체에서는 국·공·사유림 구분없이 전 지역을 책임지고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으나, 산불현장에서는 국유림 산불인지 민유림 산불인지 판독에 집중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제 강원도는 특별자치도가 됐다. 시대흐름에 따라 특별자치도에 맞게 국·공·사유림을 통합 계획을 수립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강원자치도지사에게 권한을 위임해야 한다. 그래야 강원자치도 전체 산림에 대해서 산림경영의 기본인 6대기능(목재생산, 수원함양, 산림재해방지, 생활환경보전, 자연환경보전, 산림휴양)을 디자인하고, 추가로 임업과 농업을 접목시키는 「혼농임업 Agroforestry, アグロフォレストリー/경사 30%미만 산지」 즉, 산약초·산나물·고랭지채소 등을 산림에서 재배할 수 있게하여, 산주는 물론 지역 산촌주민들의 소득증대와 산지활용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아무리 잘 된 산림경영계획이라도 대형산불로 소실되면 모든 계획도 소실되고 만다, 약 80여년간 생태계가 교란되고 임지 파괴는 물론, 산사태 같은 산림재해 발생 빈도가 높아진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강원자치도 산림청” 신설을 고민할 때라고 생각한다. 그래야지 효율적이고 책임있는 “산불방지”와 소득증대는 물론 일자리 창출·산림관광 인프라 구축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대관령·선자령 등 자연과 지역자산을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강원자치도 스위스”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국민건강을 위한 마을별 치유의 숲 조성, 산촌마을 혼농임업을 통한 소득증대, 각종 공장과 대형 관광 숙박단지 등 강원특별자치도의 출범으로 산지를 활용한 경제개발과 선진국형 임업경영이 될 수 있도록, 모든 도민의 관심과 역량을 모아 산불없는 자연이 만들어낸 강원특별자치도를 만들어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