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발언대]안전한 일상 지키는 ‘도민 안심거리’

선동희 강원경찰청 범죄예방계 CPO팀장

강원특별자치도는 자치경찰제를 기반으로 도민의 일상 속 불안 요소를 해소하기 위한 실질적 정책을 펼치고 있다. 그 중심에는 ‘도민 안심거리 조성 사업’이 있다.

이 사업은 범죄취약지역을 대상으로 CCTV, 보안등, 비상벨 등 범죄예방 시설을 설치하고, 범죄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경찰의 112신고 및 범죄분석 자료 그리고 도민의 직접적인 의견을 바탕으로 대상지를 선정하며 자치경찰위원회와 경찰, 지자체가 협력하여 합동 현장점검과 범죄예방 시설 설치를 함께 진행한다.

특히 이 사업의 강점은 주민이 느끼는 불안감에 주목했다는 점이다. 단순히 범죄통계만 고려한 것이 아니라 주민이 체감하는 불안 요소까지 반영함으로써 실질적인 안심 효과를 도출하고 있는 것이다. 설치된 방범시설은 기계장비를 넘어 지역 주민의 심리적 안정까지 고려한 치안 인프라의 기능을 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안전 분야 역량을 나타내는 ‘행정안전부 지역 안전지수’를 보면, 강원특별자치도의 범죄 분야 안전 등급은 2020년 4등급에서 자치경찰위원회가 출범한 2021년 3등급으로 상승하였고, 지난해까지 4년째 줄곧 3등급을 유지하며 중위권에 머물고 있다. 이는 치안환경 개선이 꾸준히 지속되어야 함을 시사하며, 도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의 필요성을 뒷받침한다.

다행히 강원특별자치도와 자치경찰위원회는 올해도 강원경찰청과 협업하여 ‘도민 안심거리 조성 사업’을 꾸준히 추진 중이며 도시 지역뿐 아니라 치안 인프라가 부족한 농촌 지역을 위한 대책도 병행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 영월과 평창에서 시범 실시 중인 이동형 CCTV 설치 사업은 농산물 절도 예방을 목표로 한 새로운 시도로 농촌 치안 사각지대를 조금이라도 해소해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민 안심거리 조성 사업’은 단순한 환경개선 사업을 넘어 도민의 의견에서 출발해 지역사회가 함께 만드는 참여형 치안모델이다. 앞으로도 강원특별자치도와 강원경찰청은 도민이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치안정책을 통해 모두가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안전한 강원도를 만들어갈 것이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실효성 있는 환경개선 사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안전 인프라 확충을 위한 안정적인 예산 확보가 필수적이다. 도민의 안전은 곧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직결되므로 앞으로도 강원특별자치도는 예산과 정책의 유기적 연계를 통해 보다 촘촘하고 실질적인 안전망을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