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환경장관 후보자 "찬반논란 댐 신설 재검토"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국회 제출 인사청문회 답변서 통해 의견 밝혀
"찬반 논란 신규 댐, 정밀 재검토 거쳐 합리적인 방향 설정"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24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이룸센터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정부가 추진하는 신규 댐에 대해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9일 김 후보자가 국회에 제출한 인사청문회 답변서를 보면 김 후보자는 신규 댐과 관련해 "홍수·가뭄 예방효과와 지역 주민 간 찬반 논란이 있으므로 정밀 재검토를 거쳐 합리적인 방향을 설정하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 인사청문회 준비팀 관계자는 '재검토'의 의미를 두고 "총괄적으로 다시 살펴보겠다는 것"이라면서 "댐 신설을 위한 기본구상이 진행 중인 만큼 그 과정에서 재차 검토하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당시 '홍수와 가뭄에 도움이 안 되고 주민도 원치 않는 신규 댐 설치 폐기'를 공약했다.

앞서 윤석열 정부는 기후변화로 홍수와 가뭄이 빈번해지는 상황과 경기 용인 반도체산단 조성 등으로 늘어날 물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신설 계획을 발표하는 등 댐 설치를 추진해왔다. 현재 삼척 산기천댐과 경기 연천군 아미천댐 등 확정된 후보지 9곳의 기본구상을 마련하는 용역이 진행 중이다.

강원지역에서는 양구 수입천이 신규 댐 후보지안에 포함됐으나 지역사회의 강력한 반발로 보류됐으며 주민들의 요구를 반영한 삼척 산기천댐의 신설만 확정된 상태다.

다만 환경부 안팎에선 김 후보자가 새 장관으로 취임하더라도 그동안 추진해온 신규 댐 사업을 백지화하는 선택을 하기는 어렵다고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기본구상이 수립되고 있는 댐들은 지역 내 반대가 거세지 않고 규모도 작아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크지 않아서다.

또 최근 홍수와 가뭄이 반복되면서 치수 기반 시설 정비·구축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높아진 점도 댐 신설이 지속해서 추진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을 싣는다.

김 후보자도 이 대통령 환경공약 중 가장 중점을 두는 부분으로 '홍수 방어 체계 구축', 장관 임명 시 가장 시급히 추진할 정책으로 '홍수 방어 인프라 구축'을 꼽았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