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최초로 천연기념물 비단벌레(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의 신비로운 우화과정이 공개됐다.
영월 천연기념물곤충연구센터는 2018년부터 국내산 비단벌레(학명:Chrysochroa coreana)의 원종을 확보해 아직 밝혀지지 않은 비단벌레의 생활사 전 과정을 연구 기록하는 과정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우화하는 모습을 영상에 담았다고 10일 밝혔다. 비단벌레의 경우 대부분의 곤충과 달리 머리와 가슴이 먼저 착색된 후 날개 부분은 제일 나중에 착색이 되는 매우 독특한 과정을 거친다.
이대암 영월 천연기념물 곤충연구센터장은 “멸종위기에 처해 있는 비단벌레는 개체수가 적고 서식지가 점점 파괴되고 있으며 유충이 2~4년 동안 나무 속을 파먹다가 나무 속에서 성충이 돼 밖으로 뚫고 나오는 특성 때문에 우화과정이 자세히 알려지지 않았다”며 “영월군과 공동으로 비단벌레 증식 복원연구를 통해 자연유산 활용방안을 모색해 나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비단벌레의 딱지 날개는 금속성의 영롱한 초록색과 붉은색으로 신라시대에는 왕관이나 왕족의 장신구, 또는 마구 등 다양하게 사용됐다. 경주 황남대총의 마구를 복원하는데 필요한 비단벌레 껍질은 800~1,000장 정도가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