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피플&피플]전찬 강릉시 공직수의사 “현장 중심 방역으로 전염병 철통 차단”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폭염 속에서도 축산농가의 방역 최전선을 지키는 공직수의사의 열정이 지역 사회에 귀감이 되고 있다.

강릉시 축산과 방역팀장인 전찬(47) 공직수의사는 연일 35도를 웃도는 폭염에도 일주일에 두 차례 이상 농장을 방문하며 동물 전염병 차단에 힘쓰고 있다.

전 팀장은 “양돈농가들이 과거 구제역 사태로 질병에 대한 트라우마가 있다”며 “약품을 전달할 때도 복용 방법과 방역 요령을 자세히 설명드리면 농가에서 잘 따라 주셔서 감사할 따름”이라고 말했다.

강릉시는 양돈을 중심으로 한 축산업이 주요 산업 중 하나다. 전 팀장은 농장과의 소통을 기반으로 자율방역 체계를 유도하고 있으며, 정기적인 교육과 홍보를 통해 2012년 이후 단 한 건의 질병도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다.

그는 “더울 때일수록 송아지는 호흡기 질환이나 설사, 돼지와 닭은 온도 변화에 민감해 직접 현장을 찾아 지도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

2002년 강원대 수의대를 졸업한 전 팀장은 군 복무 후 2006년 강원도동물위생시험소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해 2009년 강릉시청으로 전입한 뒤 현재까지 현장을 지켜왔다.

2011년 구제역 발생 당시 감염 가축 15만여 두의 살처분과 방역을 최단기간 내 완료했으며,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전에는 위험지역 가금 4,853수를 선제 수매해 AI 확산을 방지하는 등 방역 현장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했다.

또 2020년 노후 유기동물 보호시설을 개선하기 위해 동물사랑센터를 신축하고, 강원특별자치도 반려동물 지원센터 유치에도 기여하는 등 동물복지 향상에도 앞장섰다.

그는 “축산인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대화하며 위험한 질병을 겪으면서 수의사의 책임을 외면할 수 없었다”며 “공직 수의사로서 일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감사하다”고 말했다.

전 팀장은 공직수의사 선발직급이 2024년부터 6급으로 상향됐음에도 지원자 부족과 방역 인력 감소 현실을 지적하며 “수의대가 6년제로 개편된 만큼 공직수의사의 직급과 처우를 개선해야 젊은 수의사들이 공직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제언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