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인천 송도에서 생일잔치를 열어준 30대 아들을 사제 총기로 살해하고 서울 자신의 자택에 인화성 물질과 발화 타이머를 설치 60대 남성이 아들이 생활비를 지원해 주지 않아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알려졌다.
24일 경찰과 SBS 보도에 따르면 60대 남성 A씨는 프로파일러에게 “그동안 생활비를 아들이 지원해 줬는데 지난해 지원이 끊겼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들이 큰 사업을 벌이고 있음에도 생활비를 제대로 주지 않는 데 불만을 가져 범행을 저질렀다는 것이다. 특히 경찰은 A씨가 생활비 지원이 끊겼다고 주장하는 지난해에 총기 제작에 사용한 쇠파이프를 구매한 사실도 확인했다.
그동안 A씨는 ‘가정 불화’로 범행을 저질렀다면서도 구체적인 범행 동기에 대해선 진술을 거부해왔다.
A씨는 경찰의 계속된 추궁에도 "알려고 하지 마세요"라면서 진술을 회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아들을 살해한 이후 계획과 관련해서는 "한강이나 미사리로 가서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 했다"는 취지로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가족 측은 입장문을 통해 "피의자가 범행을 저지른 이유가 '이혼 문제로 인한 가정불화'라는 주장에 대해 전혀 근거가 없다"고 반박했다. 피해자인 아들이 8년 전 부모의 이혼을 뒤늦게 알고도 내색하지 않았고, 오히려 생일잔치를 열어주는 등 A씨를 배려했다는 것이다.
아울러 "피의자는 아들뿐만 아니라 현장에 있던 다른 사람들도 무차별적으로 살해하려 했으며, 총기 문제로 그 시도가 미수에 그쳤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유가족은 "피의자는 생일파티를 마친 후, 편의점에 다녀오겠다고 말한 뒤 총기가 든 가방을 들고 돌아와 아들에게 총 2발을 발사했다"고 사건 경위를 설명했다.
또한, "A씨는 며느리가 피해자를 구조하기 위해 방 밖으로 나올 때 총기를 재정비하며 그녀를 추격하고, 며느리가 아이들을 숨기기 위해 문을 잠그자 여러 차례 문을 열려고 시도하며 위협했다"고 덧붙였다.
경찰은 이를 바탕으로 유가족과 동석자들을 상대로 추가 조사를 진행해, A씨가 실제로 추가 범행을 시도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다.

A씨는 지난 20일 오후 9시 31분께 인천시 연수구 송도동 모 아파트 꼭대기 층인 33층 집에서 사제 총기를 발사해 아들을 살해한 혐의를 받고 있다.
그는 며느리와 손주들 앞에서 자신의 생일잔치를 열어준 아들에게 쇠구슬 여러 개가 들어있는 '산탄'을 연달아 발사한 것으로 조사됐다.
당시, A씨의 서울 도봉구 쌍문동 집에서는 시너가 담긴 페트병, 세제통, 우유통 등 인화성 물질 15개와 타이머가 설정된 점화장치가 발견되었다. 이 물질들은 범행 이튿날인 21일 정오에 불이 붙도록 설정된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이번 사건과 관련해 범행에 사용됐거나 차 안에 보관 중이었던 총열(총신) 13개와 탄환 86발, 시너가 든 페트병 등도 확보해 국과수에 감정을 의뢰했다. A씨의 구속영장에는 살인, 총포·도검·화약류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 현주건조물방화예비 등 3개 혐의만 적시됐다.
경찰은 A씨의 구속 기간 만료일(경찰 단계)인 이달 29일까지는 수사를 최대한 마무리하고 검찰에 송치할 방침이다.

한편, A씨의 신상 정보는 공개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인천경찰청 강력계는 사제 총기 살해 피의자 A씨의 신상 공개 여부와 관련해 피해자 유족 입장을 최대한 반영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유족 측은 전날 입장문에서 "피의자의 신상 정보가 공개되면 피해자 유족에 대한 2차 피해가 우려돼 신상 공개에 반대한다"고 했다.
특히 "잔혹한 범행을 직접 목격한 피해자의 어린 자녀들에게 2차 피해를 유발할 수 있어 신상 공개는 절대 이뤄지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번 사건은 중대범죄로 분류될 수 있으나 유족이 신상 공개를 강하게 반대하고 있어 신상 공개 심의 대상에는 오르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행법상 경찰은 신상 공개를 결정할 때 범죄의 중대성뿐만 아니라 피해자 보호 필요성과 피해자(유족) 의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경찰 관계자는 "유족 입장을 고려하면 이번 사안은 신상공개심의위원회 개최 요건에 맞지 않는다"며 "일단 수사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