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반

삶이 된 연극, 기록이 된 시간…‘최지순 연극 아카이브’

‘최지순 연극 아카이브-시간을 잇다’
7일 춘천 아트프라자갤러리서 개막
원로배우 최지순의 ‘삶과 예술’ 회고

◇‘최지순 연극 아카이브-시간을 잇다’가 오는 7일 춘천 아트프라자서 개막한다. 전시에서는 원로 연극인 최지순 선생의 지난 기록을 담은 공연 포스터와 희곡, 사진, 영상, 인터뷰 등이 소개된다.

춘천 연극의 역사를 온몸으로 살아낸 연극인 최지순. 그의 예술과 삶을 되짚는 기록의 장이 마련됐다.

‘최지순 연극 아카이브-시간을 잇다’가 오는 7일 춘천 아트프라자서 베일을 벗는다. 전시는 최지순 선생의 지난 발자취를 중심으로 196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는 춘천 연극사를 집약해 선보인다.

춘천 연극의 뿌리를 되짚어 올라가면 그 시작점에는 청년 연극인 최지순이 있다. 1960년대 초 이형근 선생이 춘천 연극의 터전을 다진 뒤 하나 둘 모여든 춘천 출신 배우들. 성우로 활동하던 최지순 선생이 연극 무대에 오른 것도 이 무렵이다. 이후 최지순 선생이 이하륜 선생과 지역 연극인들을 모아 극회 ‘사계’를 만들었고, 비로소 지역에 연극이 뿌리내리기 시작했다.

◇당시 강원일보에 소개된 춘천 연극계 소식. 원로 연극인 최지순 선생의 지난 기록을 담은 ‘최지순 연극 아카이브-시간을 잇다’는 오는 7일 춘천 아트프라자서 열린다.

‘사계’에서 ‘샘밭’으로, ‘샘밭’에서 ‘혼성’으로 극단이 변모하는 동안 춘천 연극은 날로 그 범주와 깊이를 확장했다. 공연 포스터와 희곡, 사진, 영상, 인터뷰 등을 통해 구현되는 당시의 열기는 춘천 연극이 품어온 예술의 흐름과 온도를 생생히 전한다.

이번 전시는 정은경 아카이브 연구소 문화이음 대표가 맡아 진행됐다. 꼬박 6개월을 해묵은 자료들 속에 파묻혀 지낸 그는 “비로소 근원에 대한 불안이 해소됐다”며 웃어 보였다. 극단 무소의 뿔 대표인 그는 “뿌리를 알게 될 때, 우리는 비로소 단단히 설 수 있는 힘을 얻는다”며 “춘천 연극의 기틀을 다져온 선배 연극인들을 따라 지역예술의 미래를 그리고, 나아가 지역 예술의 존재 이유를 묻고자 한다”고 이번 전시를 소개했다.

◇‘최지순 연극 아카이브-시간을 잇다’가 오는 7일 춘천 아트프라자서 개막한다.

전시 개막식은 7일 오후 3시 열리며, 최지순 선생의 아카이브 토크가 함께 열릴 예정이다. 개막 공연으로 ‘오뚝이의 욕망’ 낭독극도 펼쳐진다. 극은 강원 연극계를 대표하는 두 원로배우 최지순, 장정임 선생이 부부의 인연을 맺게 된 작품으로 더욱 의미가 크다. 한편 이번 전시는 강원특별자치도와 강원문화재단의 후원으로 마련됐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