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접경에서 내륙까지…권역별로 쪼개 설계한 강원의 국가전략”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특별자치도, 6대 분야 50개 과제로 국정 설계 참여…현재 전략 초안에 상당수 포함

이재명 정부의 중장기 국정 설계를 맡은 국정기획위원회의 활동이 마무리 작업에 들어간 가운데 전략 초안에 강원지역 현안이 상당수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강원특별자치도가 제안한 6대 분야 50개 과제가 재조명 되고 있다. 특히 강원지역 과제는 도가 주도하는 방식이 아니라 권역별·기초지자체 기반의 맞춤형 전략 제안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 바이오·반도체·수소 기반 첨단산업 육성 전면화(중부·동해안권)= 춘천, 원주, 강릉 등은 △반도체 소재·부품 생산거점 △AI 기반 첨단의료단지 △바이오·의약 특화단지 등 첨단산업 인프라 확충에 집중했다. 동해안권은 △수소산업 거점 △동해항 자유무역지역 지정 △북방경제 항만 조성 등 환동해 산업축 형성을 목표로 했다.

■ 산업 전환과 규제 완화 통한 지역 재도약 모색(폐광·접경지역)= 폐광지역은 △청정에너지·의료·관광 융합 산업 육성과 △핵심광물 클러스터 조성, △폐특법 개정을 통한 기금제도 개선을 건의했다. 접경지역은 △평화경제특구 조성 △DMZ 관광자원화 △군사시설 규제 완화 △신산업 유치 등 경제회복과 안보자산 활용을 동시에 노린 전략이다.

■ GTX·내륙선 등 14개 철도·고속도로망 대폭 요청(광역 교통망)= GTX-B 춘천 연장, GTX-D 원주 신설, 강원내륙선(철원원주), 제천태백~삼척 고속철도 등 9개 철도 노선과 5개 고속도로망이 포함됐다. 강원자치도 전역의 1시간대 광역 연결망 구축이 목표다.

■ 강원특별법 3차 개정 등 자치권 확장 초점(제도·법 개정)= 강원자치도는 △강원특별법 3차 개정 △농지·환경 특례 연장 △폐광지역 지정권 이양 등 제도 개선도 병행 요청했다. 분권형 재정·행정 구조 확립이 강조됐다. 국정위 관계자는 “정책 정합성을 바탕으로 대통령실 보고 및 국회 예산 조정을 거쳐 최종 반영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