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기숙사·성과급·휴가비 지원해도 中企는 인력난

수도권 유출, 청년 인재 유치 번번이 실패
강원특별자치도 경제 구조적인 위기 예고
단순한 일자리 제공 넘어 정주 여건 개선을

강원특별자치도 중소기업들이 인력난에 몸살을 앓고 있다. 기숙사 제공, 성과급, 상여금, 휴가비 등 다양한 복지 혜택을 앞세워도 청년 인재 유치에 번번이 실패하고 있는 현실은 강원 경제의 구조적인 위기를 예고하고 있다. 기업들이 아무리 매력적인 근무 조건을 제시해도 지역 내 정주 여건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청년들은 수도권으로 향할 수밖에 없다. 양구의 AI 기반 중소기업 ㈜아이캠은 올해 상반기부터 계속해서 인력을 모집했지만, 수개월째 단 한 명의 지원자도 받지 못했다. 원주 소재 의료기기업체 네오닥터㈜는 전문 인력 확보가 어려워 신입을 뽑아 육성하지만 결국 이직으로 이어지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수질환경 기업 ㈜이엠연구소 역시 수도권 이직자가 늘며 인력 수급에 애를 먹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단순히 기업 내부의 문제라기보다 지역 차원의 인재 순환 생태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300인 미만 중소기업의 인력부족률은 2.7%로, 대기업(1.6%)보다 훨씬 높다. 특히 강원자치도와 같은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이 수치보다 더욱 심각한 체감 인력난이 나타난다. 강원연구원이 발표한 ‘청년 삶 실태조사’에서도 지역 청년들은 이주 사유로 ‘더 나은 문화생활’(33.3%), ‘일자리 기회’(31.8%)를 가장 많이 꼽았다. 결국 기업 복지만으로는 청년층 유출을 막을 수 없다는 현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문제의 핵심은 정주 여건이다. 아무리 일자리가 있어도 주거, 교통, 문화, 교육, 커뮤니티 등 삶의 질을 보장할 수 없다면 청년층은 머물 이유를 느끼지 못한다. 2030세대는 임금만이 아닌 삶의 균형과 질을 고려하는 경향이 크다. 도는 이를 반영해 청년 주거 지원 확대, 문화 인프라 확충, 지역 대학 및 기업 간 산학 협력 강화 등 종합적인 정책 패키지를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 또한 중소기업 자체의 경쟁력 제고도 병행돼야 한다. 우수 인력이 지속적으로 정주할 수 있도록 경력 개발 기회, 내부 승진 체계, 장기 근속 유인책이 뒤따라야 하며, 기술·연구 중심 기업이라면 정부 차원의 R&D 지원과 투자 펀드 연계가 적극 추진돼야 한다.

이러한 접근 없이 ‘기숙사 제공’이나 ‘성과급 지급’에만 한정된 인재 확보 전략은 실효성을 담보할 수 없다. 지금 강원자치도 중소기업이 직면한 인력난은 단기적인 현상이 아니라 지역경제 전반을 위협하는 구조적인 위기다. 특히 대기업이 부재한 강원자치도 산업 구조 속에서 중소기업은 사실상 지역경제의 버팀목이다. 이들이 무너진다면 청년층 이탈은 가속화되고, 인구 감소와 경제 위축이라는 악순환은 돌이키기 힘든 수준에 이를 것이다. 강원자치도는 이제 청년이 오고 싶고, 정착하고 싶은 곳으로 거듭나야 한다. 단순한 일자리 제공을 넘어 ‘살기 좋은 지역’으로 전환하는 전략이 절실하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