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극심한 가뭄으로 생활용수 제한 급수가 시행 중인 강릉 지역에 대해 즉각적인 재난사태 선포를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강릉 오봉저수지를 점검한 뒤 강릉시청에서 열린 가뭄 대책회의를 주재하며 “정부가 가용한 모든 자원을 총동원해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라”고 밝혔다.
행정안전부는 대통령 지시에 따라 이날 오후 7시부터 강릉시 일원에 재난사태를 선포했다. 소방청은 소방 탱크차 50대를 긴급 투입해 하루 2천톤가량의 물을 추가 공급한다.
이 대통령은 “전국적으로 식수 지원이 필요한 만큼 여유가 있는 지자체가 공동체 의식을 갖고 도와달라”며 군·소방 급수차 활용도 적극 주문했다.
강릉은 최근 6개월 강수량이 평년의 절반에 그쳤다. 생활용수의 87%를 공급하는 오봉저수지 저수율은 전날 기준 15.7%로 평년(71.0%)의 5분의 1 수준에 불과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저수율이 25% 아래로 떨어진 지난 20일부터 강릉시는 가정 계량기 50%를 잠그는 제한 급수를 실시 중이다. 저수율이 15% 미만이 되면 제한폭을 75%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이날 대책회의에는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김진태 강원도지사, 김홍규 강릉시장,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춘천·철원·화천·양구갑) 등이 참석했다.
김 지사는 회의에서 “우려되는 상황이니 종합적으로 살펴 재난사태를 선포해달라”고 건의했고, 회의 말미에도 재차 요청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행안부 소관이니 가능하고 필요하다면 그렇게 처리하라”며 윤 장관에게 직접 지시했다.
재난사태는 대규모 피해 발생 또는 발생 우려가 있을 때 피해 최소화를 위해 발령된다. 선포 시 인력·장비·물자 동원, 응급 지원, 공무원 비상소집 등 범정부 지원 조치가 가능하다.
과거에는 △2005년 양양 산불 △2007년 충남 태안 기름유출 △2019년 강원 동해안 산불 △2022년 울진·삼척 산불 때 재난사태가 선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