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평창읍 후평·여만지구 국가하천 정비사업에 주민 반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주민 “소통 없는 성토 공사 안돼” 가처분·집회 검토
원주지방환경청 "공법 변경 어려워…주민소통 확대"

평창읍 후평·여만지구 국가하천 정비사업을 두고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원주지방환경청이 2022년부터 220억원을 투입해 평창강 정비사업을 추진하는 가운데, 평창읍 주민들은 협의 없는 일방적 강행이라며 국민권익위원회에 중재를 요청했다.

정비 구간은 평창읍 용항리~여만리 4.6㎞로, 5개 제방 보강과 배수관 설치 등 홍수피해 예방을 위한 사업이다. 환경청은 100년 빈도의 강우에도 견디도록 제방을 1.2m 이상 높이는 방안을 마련했다.

그러나 주민들은 제방이 높아지면 하천 조망이 사라지고 경관이 크게 훼손되며 인접 사유지 피해도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

최근 여만리 마을회관에서 열린 국민권익위 현장 방문 자리에서도 이 같은 문제가 제기됐다. 주민들은 원주환경청이 협의 절차도 없이 사업을 독단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임건우 여만리하천정비대책위원장은 “여만리는 이미 섬처럼 둘러싸인 마을로, 제방을 1.2~1.5m 높이면 강은 보이지 않고 농지와 주거지가 벽에 가로막혀 고립된다”며 “환경청은 하천 폭 확대 또는 강화유리 설치 등 다른 공법은 외면한 채 성토만 고집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르면 다음달 착공에 돌입하는 가운데, 주민들은 공사 중지 가처분 신청과 환경청 앞 집회까지 검토하고 있다.

이에 대해 원주지방환경청 관계자는 “이번 정비사업은 국가계획에 따라 설계가 마무리된 사안으로 제방 높이는 법정 기준상 낮출 수 없고, 하폭 확대나 강화유리 설치는 타당성이 떨어진다”고 밝혔다.

이어 “다만 가옥이 밀집된 구간은 필요 시 홍수방어벽 등 대체 공법을 검토할 수 있으며, 착공 이후에도 주민설명회 등을 통해 소통을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