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강원포럼]‘북극항로 시대’ 강원자치도가 나아갈 길

최재석 강원특별자치도의원(경제산업위원회)

정부가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을 선언했다. 해양 관련 기관과 국내 최대 해운사의 이전도 함께 논의되고 있다. 새 정부가 북극항로를 국정과제로 채택하고, 국회에서 ‘북극항로 거점항만 육성을 위한 특별법’을 발의한 것은 기후변화로 북극의 해빙 속도가 빨라지면서 북극항로가 더 이상 먼 미래가 아닌 눈앞의 현실로 다가오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북극항로는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최단 해상로다. 동아시아에서 유럽까지 기존 수에즈 운하를 거치면 약 2만2,000㎞, 40일이 걸리지만, 북극항로를 이용하면 1만5,000㎞, 30일로 줄어든다. 운송 기간이 10일이나 단축되고, 물류비는 약 25%가 절감된다. 그뿐만 아니라 북극은 석유와 천연가스, 희토류를 비롯한 광물자원이 매장된 블루오션이다. 북극항로가 본격 상업화될 경우, 단순한 물류 혁신을 넘어 에너지 채굴과 수송, 국제 교역의 판도를 바꿀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지정학적, 경제적 가치를 선점하기 위해 미국과 러시아, 중국 등 강대국들이 앞다투어 북극에 진입해 각축을 벌이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북극항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배경이기도 하다. 이렇게 볼 때 정부에서 북극항로 시대에 어떻게 대응할지를 국정과제로 채택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결정이라 할 수 있다.

이런 흐름에 맞춰 국내 자치단체들의 경쟁도 치열하다. 부산은 해양수산부 이전을 계기로 울산과 경남을 아우르는 부·울·경 경제권을 수도권에 버금가는 거대 경제권으로 키운다는 야심 찬 목표를 세웠다. 북극항로를 통한 물동량 확보는 물론 에너지 수입, 쇄빙선 건조 등의 구체적인 전략도 수립했다. 경상북도는 영일만 신항을 ‘환동해 에너지 허브’로, 전라남도도 여수와 광양을 ‘북극항로 물류 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 강원특별자치도는 어떠한 준비를 하고 있을까? 강원도는 2030년 완공되는 동해신항을 북방교역의 전진기지로 삼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동해항 3단계 사업 가운데 4번 선석을 화학공업 생산품 부두로 변경한 것도 앞으로 전개될 북방교역 시대를 위한 포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강원특별자치도는 부산권과 울산, 포항에 비하면 공업생산력은 물론 항만과 도로망 등 물류 여건이 취약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강원도에도 강점이 있다. 부산권과 비교해 수도권과의 육상운송 거리를 200㎞가량 줄일 수 있다. 수도권 물류를 동해안권으로 끌어올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한다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를 위해서는 세 가지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첫째, 동해묵호항의 물류단지와 배후시설을 확충해야 한다. 북극항로 시대 종합 물류 거점으로 가기 위한 기본 시설이다. 둘째, 영월~삼척 고속도로와 동해항 임항철도 건설을 서둘러야 한다. 화물의 흐름이 물 흐르듯 해야 하기 때문이다. 셋째, 물류비 보조를 비롯한 맞춤형 마케팅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상대적으로 불리한 여건을 만회해야 하기 때문이다.

북극항로 시대 거점을 선점하는 것은 단순한 물류의 차원을 넘어 강원특별자치도의 미래와 직결되는 일이다. 628년 만에 특별자치도로 새롭게 출발한 강원도가 주어진 권한을 제대로 살려 도민과 중앙정부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촘촘한 실행 계획을 마련해야 하는 이유다.

‘예정된 미래에서 확실한 오늘’이 된 북극항로 시대! 기회는 두드리는 자에게만 주어진다.

가장 많이 본 뉴스

    강원의 역사展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