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동해고속도로 고성 연장, 더 이상 미뤄서는 안 돼

동해고속도로 고성 연장 사업은 단순한 도로 연결을 넘어 강원 북부 지역의 미래를 결정짓는 핵심 인프라다. 남북 7축 중 유일하게 단절된 고성 구간은 1998년 기본설계 이후 25년 넘게 계획만 존재한 채 현실화되지 못했다. 반면 동해~속초 구간까지는 이미 개통을 마무리하며 강원 동해안 축의 골격은 사실상 완료된 상태다. 남은 것은 ‘고성’이라는 마지막 퍼즐을 완성하는 일이다. 그 퍼즐이 빠진 지금, 고성은 관광·물류·산업 모든 측면에서 단절과 소외를 감내해야 했다. 따라서 동해고속도로 고성 연장 사업은 조속히 착공돼야 한다.

고성은 강원특별자치도 북부 교통의 블랙홀이다. 속초를 마지막으로 끊긴 고속도로는 고성 주민에게 ‘정체의 상징’이자 불균형의 상처로 남아 있다. 관광객과 물류 차량은 고성 직전에 정체되거나 국도로 우회해야 하고, 이는 지역 발전의 발목을 잡는 구조적 제약이 되고 있다. 관광은 물론 산업적 접근성에서도 고성은 ‘길이 막힌 지역’으로 인식되고 있는 현실이다. 지역 균형발전은 선언만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도로가 연결돼야 비로소 경제가 흐르고, 사람이 움직인다.

그리고 고성 연장 구간은 단지 지역 이기주의에 따른 민원이 아니다. 최근 남북관계 개선의 기대감과 금강산 관광 재개 가능성이 커지는 가운데, 동해 북부 축의 전략적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 고성은 단순한 접경지가 아니라, 북방경제 시대의 전진기지가 될 수 있는 곳이다. 그 가능성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선 고속도로 인프라가 필수다. 금강산 관광이 재개되더라도 도로망이 받쳐주지 않는다면, 관광 수요의 확산은 기대 난망일 뿐이다. 또 환경 훼손이나 교통 수요 부족 등을 이유로 연장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존재하지만 도 전체의 구조적 발전을 위해서는 미래 수요와 전략적 가치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 속초까지 이어진 고속도로가 고성에서 멈춘다면, 이는 단지 도로 한 줄이 아니라 도의 성장동력 하나를 스스로 끊는 것이 된다. 고성군은 지속적인 사전타당성 조사 용역과 중앙부처 건의, 도로공사와의 협의 등을 성실히 추진해 왔다. 행정적·재정적 준비를 모두 마친 상황으로 이제 필요한 것은 정부의 정책적 결단뿐이다.

여기에다 고성군은 높은 실업률과 낮은 인구 유입률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것은 단순히 일자리 부족의 문제가 아니라 접근성과 교통 인프라 미비에 따른 구조적 소외를 뜻한다. 고속도로는 고용을 창출하고, 기업을 유치하며, 정주 여건을 개선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반이다. 동해고속도로 고성 연장을 더 이상 미뤄선 안 된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