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정부, 강원에 차별 지원 넘어 ‘선제적 투자’ 해야

이재명 대통령, 오늘 강원도 방문 타운홀 미팅
K-문화관광벨트 구축·규제 완화 등 논의 예고
단순한 청취 아닌 ‘특별한 대책'' 내놓을 때

이재명 대통령이 12일 강원특별자치도를 방문, 타운홀 미팅을 연다. 지역민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통해 강원의 현안과 숙원 사업에 대한 해법을 모색하겠다는 취지다. 이미 광주·전남, 부산 등에서 진행된 타운홀 미팅이 지역 발전에 대한 정부의 의지를 표명하는 자리로 기능한 만큼, 이번 강원 타운홀 미팅 역시 실질적인 성과와 확약을 기대하게 만든다. 특히 평화경제특구 조성, K-문화관광벨트 구축, 군사 규제 완화, GTX 등 주요 SOC 확충에 대한 논의가 예고돼 단순한 청취 행보가 아닌 ‘특별한 대책’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 도는 오랫동안 중앙정부의 정책 우선순위에서 소외돼 왔다. 접경지라는 지정학적 제약, 군사 규제, 교통 인프라의 열세, 산업기반의 취약성 등 다층적·구조적 문제는 여전히 해소되지 못한 채 지역 발전의 발목을 잡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번 타운홀 미팅은 단순한 민심 청취의 장을 넘어 강원 발전을 위한 ‘분기점’이 돼야 한다.

이 대통령이 직접 언급한 ‘K-문화관광벨트’ 및 ‘글로벌 관광허브’는 강원의 경쟁력과 직결되는 구상이다. 평창동계올림픽 유산을 활용한 복합 체험 관광지, DMZ 생태·평화관광특구 조성 등은 이미 강원자치도가 정부에 수차례 건의한 바 있다. 하지만 수년간 표류해 온 이들 사업이 다시금 수면 위로 떠오른 만큼, 이번에는 구체적인 예산 확보 방안과 실행 로드맵이 동반돼야 한다. 구호로 끝난다면 지역민의 실망은 더욱 클 수밖에 없다. SOC 확충과 군사 규제 완화는 글로벌 관광허브 구축의 ‘선결 조건’이다. 교통 인프라 없이 관광 수요를 기대하긴 어렵고, 접경지 규제 해소 없이 평화특구 조성은 현실화될 수 없다. 이번 타운홀 미팅에서 정부의 진정성을 확인할 수 있을지 여부는 ‘누가 말하느냐’가 아닌 ‘무엇을 약속하느냐’에 달렸다. 충청권 타운홀 미팅에서는 세종 행정수도 완성 등 핵심 현안은 거론되지 않았고, 지역 시·도지사 초청조차 생략돼 뒷말을 낳았다. 이번 강원 미팅이 이 같은 전철을 밟아선 안 된다. 현재까지는 긍정적인 신호도 감지된다.

김진태 도지사, 육동한 춘천시장, 지역 국회의원들이 초청된 점은 중앙-지방 간 공식 협의의 기반이 마련되었음을 시사한다. 진정한 지역 균형발전은 정치적 이벤트나 선언이 아닌, 지속 가능한 정책과 실천에서 나온다. 도가 건의한 사업에 대해 대통령이 어떻게 응답할지에 따라 강원인들의 체감도는 극명히 갈릴 것이다. 정부는 이번 기회를 통해 도에 대한 차별적 지원을 넘어 ‘선제적 투자’를 선언해야 한다.

강원특별자치도는 단지 명칭만의 ‘특별함’이 아닌, 실질적인 권한과 자율성을 통해 국가 균형발전의 모범으로 자리매김해야 함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서는 이번 타운홀 미팅이 지역의 기대를 충족시키는 출발점이 돼야 하며, 정부는 약속한 정책이 현장에서 구체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끝까지 책임을 져야 한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