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강원관광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물가 폭등’

추석 연휴를 앞두고 강원특별자치도의 숙박 및 외식 요금이 급등하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8월 기준 도내 콘도 이용료 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14.98%, 2년 전과 비교해 20% 이상 치솟았다. 명절 연휴 특수요금까지 더하면 체감 물가는 더욱 높을 수밖에 없다. 실제 현장 요금도 상식을 벗어나는 수준이다. 강릉의 한 펜션은 평일 5만원대였던 숙박료를 연휴 첫날 25만원 가까이로 인상했고, 춘천의 한 글램핑장은 70% 이상 요금을 올렸다. 여기에 외식비마저 동반 상승하며 도민은 물론 강원을 찾는 관광객 모두가 물가 부담을 고스란히 떠안고 있다. 물론 명절 연휴는 수요가 집중되는 시기이고, 이에 따른 가격 변동은 어느 정도 예견된 일이다.

하지만 현재의 상황은 단순한 계절적 요인으로 치부하기엔 그 폭이 지나치다. 도의 물가 상승률이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돌고 있다는 점, 그리고 연휴 특수라는 이름으로 책정되는 비정상적인 요금은 지역 관광의 지속 가능성을 해치는 요소로 작용한다. 특히 강원관광의 기반은 수도권 인근이라는 지리적 이점과 천혜의 자연자원을 바탕으로 한 ‘접근성’과 ‘가성비’였다. 그러나 지금처럼 숙박·외식 물가가 급등하면 가족 단위 여행객이나 중장년층 방문객들의 발길이 자연스레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이는 단기적으로는 수익 증대를 가져올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관광객의 신뢰를 잃고 지역 관광산업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충수’다. 정부와 지자체는 이에 대응해 각종 할인 행사와 지역 소비 진작 캠페인을 추진하고 있지만 이러한 이벤트는 단기적 처방에 불과하다. 궁극적으로는 지역 물가 안정화 방안이 병행돼야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현재처럼 요금이 수요에 따라 급변하는 구조에서는 어떤 할인도 소비자의 체감 부담을 낮추기 어렵다. 근본적으로는 가격 책정의 투명성과 책임감 있는 시장 질서 회복이 우선돼야 한다.

이를 위해 관광시설 요금의 사전 고지 의무 강화, 성수기 폭리 방지를 위한 지자체 단속 확대, 물가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 등이 필요하다. 또한 공공부문에서 운영하는 숙박 및 관광시설의 요금 인상 자제를 통해 시장의 가격 기준을 안정시키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때다. 나아가 도는 지속 가능한 관광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지금처럼 단기 수익에 집중하는 방식은 관광의 질적 성장을 가로막는다. 관광객 1명을 더 유치하는 것보다 이미 지역을 찾은 방문객이 다음에도 다시 찾고 싶게 만드는 전략이 더욱 중요하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