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중앙 의존 벗고 지역 주도… 강원RISE 거버넌스의 힘"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대학과 지역이 만드는 내일'
[강원일보·강원RISE센터 공동기획]
[3회] 강원RISE의 성공 열쇠: 견고한 거버넌스와 추진 체계

강원일보db

강원RISE가 성공하려면 비전과 프로젝트만으로는 부족하다. 실행을 이끌어낼 견고한 거버넌스가 필수적이다. 강원RISE는 ‘위원회’와 ‘센터’를 두 축으로 추진 체계를 설계하고, 18개 시군 전역을 아우르는 과제를 통해 대학도시 생태계를 구축했다. 기본계획 단계부터 전문인력이 참여해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며, 촘촘한 거버넌스를 가동해 안정적 추진 기반을 마련했다.

■강원RISE 위원회 – 전략과 방향성을 잡는 컨트롤타워= 강원RISE 위원회는 도지사와 강원대 총장이 공동위원장을 맡는다. 여기에 도내 주요 대학 총장, 지역 대표기업 CEO, 교육감, 연구·혁신기관장 등이 참여해 전략적 의사결정을 수행한다. 단순 행정 자문이 아니라, 지역 혁신 전 과정에 영향력을 미치는 최고 의사결정기구다. 연차별 실행계획을 심의·의결하고 성과를 점검해 일관성과 지속성을 확보한다.

■강원RISE센터 – 실행력의 두뇌와 허브= 강원인재원 내 설치된 RISE센터는 기획·공모·성과 관리 등 전반을 총괄하며, 대학-지역-기업 네트워킹을 중재하는 실행 플랫폼이다. 2024년 교육부가 지정한 강원지역 대학-지자체 협업 전담기관으로, 고등교육 혁신과 청년 정착, 지역 활력 회복을 이끄는 핵심 허브로 기능한다.

■지자체-대학-기업의 분담 구조= 지자체는 전략과 예산, 규제 개선을 맡고, 대학은 교육 혁신과 연구 환원을 통해 특화 인재를 공급한다. 기업은 기술 수요를 제기하고 현장 실습·일자리를 제공한다. 주체들이 긴밀히 협력할 때 교육 혁신은 성과를 내고 산학협력은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이어진다.

■주민 참여와 신뢰 확보= 강원RISE는 주민 의견을 사업 기획에 반영해 정책의 현실성을 높인다. 청년·시민·지역단체가 참여하는 지역위기대응 공동연구소(G-Lab)을 통해, “대학과 기업만의 프로젝트”가 아닌 “지역사회 전체의 혁신 과제”로 자리매김한다. 이는 정책 신뢰도를 높이고, 사업 추진 중 일어날 수 있는 갈등을 최소화한다.

■다른 지역과의 차별성= 다른 광역단체도 거버넌스를 운영하지만, 강원RISE는 일부 지역에 편중된 자원을 도 전역으로 확산시키고, 대학이 없는 11개 시군을 포괄하기 위해 ‘대학도시’ 개념을 도입해 타 지역과의 차별성을 도모했다.

최종필 강원RISE사업부장은 “강원RISE 거버넌스의 강점은 현장에서 바로 작동할 수 있는 실행력에 있다. 지역 현장을 긴밀히 연결해 목표와 지표를 관리하고, 데이터 기반 점검과 신속한 환류로 성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