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강원지역 선거관리위원회 휴직 비율 1% "선거철 휴직러시 오명 벗어"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올 8월 말 기준 휴직자 비율 1.85% 전년 대비 2.32%포인트 떨어져
중앙선관위 '선거철 휴직자 러시' 대비 휴직 자제 권고 등 자구책 펼쳐
일-양육 병행 정부 방침 역행한다는 불만도…선거 중요성 공감대 충분

◇강원도선거관리위원회 전경.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강원도 내 선거관리위원회 전체 휴직자 비율이 급감하며 1%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대선·총선 등 주요 선거철마다 휴직자 급증으로 지적을 받아 온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휴직 자제 권고' 등 자구책을 펼친 결과다.

강원도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올 8월 말 기준 도내 전체 선거관리위원회 현원 162명 대비 휴직자는 3명으로 집계됐다. 휴직자 비율은 1.85%로, 종류별로 육아 휴직자가 2명, 가족돌봄 휴직자가 1명이었다. 연도별 휴직자 비율을 보면 대선과 지선이 있었던 2022년 4.32%, 전국동시조합장선거가 치러진 2023년 7.55%, 총선이 진행된 2024년 4.17% 등으로 이전에 비해 올해는 크게 낮았다.

이 같은 휴직자 감소는 소위 '선거철 휴직러시'라는 오명을 씻기 위한 중앙선관위의 자체 정화 방침이 있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중앙선관위는 올 6월 제21대 대통령선거에 앞서 3월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 불요불급(선거 이전 휴직·선거 이후 복직)한 휴직은 자해해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전국 선관위에 배포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는 '자제 권고에도 불요불급한 직원은 결원 상황 등을 반영해 타 지역으로 전보될 수 있다'는 내용도 포함된 것으로 파악된다.

이와 함께 계엄과 탄핵 등으로 여야 정권이 뒤바뀐 이후 치러지는 내년 지선에 관심이 상당한 만큼 또 다시 휴직자 증가로 근무 기강 해이 문제가 불거지는 것을 최소화하겠다는 직원들의 자발적 자제도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열-양육 병행이라는 정부 방침과 역행한다는 불만도 있다. 국가공무원법을 근거로 한 선거관리위원회공무원규칙을 보면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둔 경우 1명당 3년의 휴직 기간을 부여받으며, 이를 제한할 수 있는 근거 역시 현재로서는 없다.

도내의 한 선관위 관계자는 "현실적인 육아 공백이나 가족 돌봄이 필요한 경우 대내외적인 시선으로 선뜻 휴직을 하지 못하는 것은 아쉬운 부분"이라며 "선거를 최우선으로 보고 휴직을 자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직원 대부분이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