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추석 연휴 민생현장 탐방, 정책으로 이어져야

여야, 전통시장 장보기·농촌 일손돕기 등 행보
물가 상승·경기 둔화 등 소비 심리 위축 여전
선거용 아닌 서민 체감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을

민족 대명절인 추석 연휴기간 강원특별자치도 정치권이 앞다투어 민생 현장을 찾았다. 전통시장 장보기, 역귀성 인사, 농촌 일손돕기, 관광지 점검 등 행보는 다양하지만 그 이면에는 2026년 지방선거를 염두에 둔 표심 확보라는 정치적 계산이 깔려 있는 것이 사실이다. 물론 주민을 직접 만나 그들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듣는 정치권의 노력은 환영할 일이다. 그러나 일회성 이벤트에 그치고, 정작 명절에도 고통받았던 서민 경제의 본질을 외면한다면 이는 정치적 쇼에 불과하다.

전통시장 장보기는 해마다 명절에 반복되는 정치권의 단골 민생 행보다. 상인들과 사진을 찍고 제수용품을 구입하며 지역경제를 걱정하는 모습은 익숙하기 그지없다. 그러나 한 끼 식사를 고민하는 자영업자, 인건비와 물가에 허덕이는 농민, 귀성은커녕 생계를 위해 일터를 지켜야 하는 노동자들의 현실은 그들의 눈길조차 닿지 않는 곳에 있다. 진정한 민생 정치는 시장통만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민생은 단발적이고 가시적인 만남보다는 지속적인 제도적 보완과 예산 지원을 통해 회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강원자치도는 인구 고령화와 지역 소멸 위기가 겹쳐지고 있는 상황 속에서 추석마저 ‘명절 특수’를 체감하지 못하는 곳이 적지 않다.

농촌 지역은 수확철을 맞아 인력이 부족하고 또 일부 지역 상권은 수도권 대비 소비 회복 속도가 여전히 더디다. 이런 구조적인 문제에 대해 정치권은 과연 얼마나 깊이 있는 대안을 마련하고 있는가. 이번 명절, 정부는 소비쿠폰을 추가 발행하며 민생 회복의 동력을 확보하려 했지만 실효성에 대한 의문도 존재한다. 장보기 행사에 참여했던 강원자치도 정치권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입에 담았지만, 정작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 경기 둔화 등으로 위축된 소비 심리를 되살릴 뚜렷한 정책은 보이지 않는다. 소비쿠폰과 같은 단기 대책도 필요하지만, 자영업자 세제 혜택 확대, 농업 유통망 개선, 청년 창업 지원 등 중장기 민생 전략이 병행되지 않으면 문제는 반복될 수밖에 없다. 강원자치도는 지역별 상황에 따라 맞춤형 접근이 요구된다. 도심 지역은 전통시장 상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디지털 전환과 젊은 소비층 유입 방안 등을 고민해야 하고, 농촌 지역은 계절근로자 확보, 직거래 유통 확대, 고령농 지원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 관광지는 일회성 관광객 유치보다는 체류형 관광으로 전환해야 지역 소득이 실질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정책이 수립될 때에야 정치인의 민생 행보가 ‘선거용’이 아닌 ‘현실 대응’으로 받아들여진다. 민생은 사진으로 남지 않는다. 실천으로 체감될 때 비로소 진정성을 인정받는다. 명절은 민심을 읽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인 동시에 정치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되묻는 시기다. 강원자치도 정치권은 일시적인 방문으로 민생을 다뤘다고 착각하지 말고, 추석 이후에도 주민 삶을 지키는 정책 개발과 입법 활동에 매진해야 한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