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외동포청(청장:김경협)은 10월 '이달의 재외동포'로 대규모 모국 투자로 우리나라 경제 발전에 이바지한 서갑호(1914~1976) 회장을 선정했다고 15일 밝혔다.
서 회장은 1914년 경상남도 울주군 삼남면에서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나 9세 때 혈혈단신으로 일본 오사카에 건너갔다. 그곳에서 온갖 궂은일을 하며 한푼 두푼 모은 종잣돈으로 가내 수공업 형태의 방직공장을 시작, 1948년 '사카모토 방적'을 설립하며 승승장구했다.
1950년 '오사카방적'을 설립하고, 5년 뒤 '히타치방적'을 인수하며 사업을 확장했고, 1961년에는 연 매출 100억엔을 올리고 '일본의 방적왕'이라 불리면서 한때 일본 전체 고액 소득자 5위에 등극하기도 했다. 이후 호텔, 부동산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방적업으로 성공한 그는 조국을 잊지 않고 조국과 재일동포 사회를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1962년 도쿄 아자부1번지 토지와 건물, 1975년 시로카네 토지와 건물을 우리 정부에 기증했고, 이는 현재의 주일본대한민국대사관 및 대사관저의 토대가 됐다.
당시 시내 중심가였던 대사관저 부지는 현재 시세로 1조원 정도다.
1963년 오사카 대한민국공사관을 이전해야 할 처지에 놓였을 때에는 그를 비롯한 5명의 재일동포가 2,700만엔을 마련해 보증금으로 기부하기도 했다.
민족 교육에도 관심이 깊어 1957년 오사카 소재 한국학교인 '금강학원' 이사장을 맡아 세상을 떠날 때까지 연간 운영자금을 사재로 지원했고, 오사카재일대한민국민단에 연 500만엔씩을 찬조하며 재일동포들의 권익 향상에 힘썼다.
모국 투자는 1961년 박정희 전 대통령이 경제개발 계획을 시행할 시기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1963년 2월 영등포 소재 한국 최대 면직공장인 '태창방직'을 100만 달러에 인수해 '판본방직주식회사'를 세웠다. 이는 최초의 재일동포 대규모 모국 투자 사례로, 당시 우리나라 섬유 산업과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김경협 청장은 "서 회장의 기부와 투자는 재정적 기여를 넘어 우리나라의 위상을 제고하고, 재일동포 사회 및 우리나라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며 "그의 조국애와 헌신이 잊히지 않도록 10월의 재외동포로 선정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