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원 백마고지 내 6·25전쟁 전사자 유해 발굴이 3년여만에 재개됐다.
국방부는 15일 "남북 간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2022년 중단됐던 강원도 철원 백마고지 일원 유해발굴을 재개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는 6·25전쟁 전사자 유해를 가족과 조국의 품으로 돌려보내 드리기 위한 노력이며, 비무장지대를 평화지대로 만들기 위한 실질적 조치"라고 설명했다.
앞서 남북은 2018년에 체결한 '9·19 군사합의'를 통해 철원지역 비무장지대(DMZ) 내에서 남북이 함께 6·25 전사자 유해를 발굴하는 사업을 시범적으로 시행하기로 했다. 남측은 2019년 4월부터 DMZ 남측 지역 화살머리고지에서 유해 발굴을 시작했지만, 북측은 DMZ 북측 지역에서 유해 발굴에 나서지 않아 유해 발굴은 결국 남측 단독 사업으로 진행됐다.
우리 군은 화살머리고지에 이어 백마고지에서도 유해 발굴을 진행하다가 안보상황이 악화됨에 따라 안전상의 이유로 2022년 11월 말 중단했다.
군 당국은 다음 달 말까지 160여명의 인원을 백마고지에 투입해 과거 발굴 당시 방치됐던 유해 50구를 수습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반대의 목소리도 나온다.
지역구 국회의원인 국민의힘 한기호(춘천-철원-화천-양구 을) 의원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이재명 정부의 DMZ 내 유해발굴 재개 결정에 대해 깊은 우려와 함께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한 의원은 "북한이 도발할 경우를 대비한 확고한 거부계획이 필요하다"며 "교량과 주요 진입로를 통제해 적의 진격을 차단할 실질적 준비가 반드시 있어야 하지만 정부와 군은 거부계획조차 명확히 제시하지 못한 채, 일방적으로 유해발굴을 재개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우리는 유해발굴을 진행했지만 북한은 단 한 번의 삽질도 하지 않았다"며 "결국 우리만 대문을 활짝 열어놓고, 도둑이 들어오기를 기다리는 꼴"이라고 비판했다.
또 "수많은 장병들이 목숨을 걸고 사수했던 고지를 우리가 스스로 내어주고 있는 것은 아닌지 참담하다. 일방적 유해발굴 재개 계획은 반드시 재검토되어야 한다. 철저한 거부계획과 안보 대비태세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