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지역 바닷가에서 각종 난개발이 이어지며 해안침식 상태가 심각해지는 등 동해안 위기가 가속화되고 있다.
천혜 경관을 보호하기 위한 지자체의 난개발 차단과 기후변화에 따른 연안침식 문제 해결을 위한 신속한 정비가 요구된다.
정희용 국회의원과 해양수산부의 ‘2024년 연안침식 실태조사’에 따르면 강원도 102곳의 해안지역 가운데 A등급(양호)은 단 4곳에 불과하다. B등급(보통)은 32곳이며 C등급(우려)은 56곳에 달하고 D등급(심각)은 10곳으로 집계됐다. 전체의 64.7%가 우려·심각지역으로 해안침식에 따른 재해발생 가능성이 높다.
특히 2023년 대비 A등급과 B등급은 각각 3곳, 8곳씩 줄어든 반면 C등급은 9곳, D등급은 4곳씩 늘어나 해마다 연안침식 해안지역이 늘어나고 있어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강원지역 D등급 가운데 속초시 영량동은 과도한 인공구조물 설치에 따른 해변 모래가 유실돼 인공해변으로 변화되며 2021년 이후 줄곧 연안침식 심각지역에 포함됐다. 또다른 D등급인 강릉 소돌·염전·하시동, 동해 하평, 삼척 장호·임원, 속초 등대·청호, 양양 동산 등도 침식 원인은 유사하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동해안은 지형적 특성(외해에 노출된 해안) 및 고파랑 내습 증가로 해역별 가장 높은 우려·심각지역 비율이 높다”고 말했다.
정희용 국회의원은 “정부는 연안침식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연안정비 사업을 선제적으로 신속하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무엇보다도 해안침식 예방과 바닷가 자연 복원을 위해 해안가 난개발을 지자체에서 적극 차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상균 가톨릭관동대 건축학부 교수는 “자연환경을 포함한 지역적 가치를 보전하기 위한 경관 규제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