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강원 체류인구 전국 1위, 지역 성장 에너지로

12개 시·군 체류인구 총 282만6,000여명
평균 13.6시간 머물러 지역경제 긍정적 효과
맞춤형 서비스와 특화 전략 동시에 마련할 때

강원특별자치도의 ‘체류인구’가 주민등록인구의 6배에 달해 전국 1위를 기록했다는 소식은 단순한 수치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이번 통계는 강원이 단지 ‘살기 위한 공간’이 아니라 ‘찾고 머무르는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지표다. 특히 체류시간, 카드 사용액, 타 시·도 거주자 비율 등 부가적인 지표들에서도 강원은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며 ‘생활 관광 중심지’로서의 존재감을 드러냈다.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25년 1분기 인구감소지역 생활인구 산정 결과’에 따르면 도 인구감소지역 12개 시·군의 체류인구는 총 282만6,000여명으로, 등록인구(46만8,000여명)의 6배에 달했다.

전국 평균이 3.8배인 점을 고려하면 도가 인구 감소라는 구조적 위기 속에서도 역동적 유동인구 유치에 성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체류시간 평균 13.6시간, 타 시·도 거주자 비중 82.5%, 카드 사용액 비중 41.7%는 그 자체로 지역경제에 상당한 긍정 효과를 창출하고 있음을 방증한다. 하지만 화려한 수치 이면에는 고민해야 할 과제도 분명히 존재한다. 바로 ‘재방문율’이다. 강원의 재방문율은 31.9%로 전국 평균(39.3%)보다 낮고, 전국 7위에 머물렀다. 이는 단기 체류 중심의 관광 소비가 장기적인 지역 소득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도가 ‘한 번쯤 가보는 곳’이 아니라 ‘자주 찾고 머무는 곳’이 되기 위해서는 지금이 바로 전환의 계기이자 전략 수립의 시점이다. 우선, 생활인구 증가의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고 이를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으로 전환시켜야 한다.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와 원격근무 확산, 캠핑·차박 문화의 대중화, K-관광에 대한 해외 관심 증대 등은 강원의 ‘자연 자본’을 주목받게 만들었다.

그러나 이는 일시적인 흐름일 수 있다. 따라서 도는 다양한 체류 목적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와 지역 간 특화 전략을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 ‘강원 생활도민증 제도’는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는 정책적 시도다. 2만2,600여명의 가입자가 이를 통해 지역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고, 전산망 개선 이후 꾸준히 가입이 증가하고 있다.

생활도민증의 기능을 단순한 할인 혜택 수준을 넘어 생활 기반 서비스로 확대한다면, 강원과 느슨하게 연결된 생활권 외지인의 ‘심리적 이주’를 유도할 수 있다. 장기 체류자에게는 주민 수준의 교육·문화·의료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전향적으로 검토해야 할 때다. 재방문율 제고를 위한 다층적 접근이 요구된다. 첫 방문 이후 재차 방문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변화’와 ‘기억’이라는 두 키워드가 핵심이다. 이를 바탕으로 계절마다 다른 매력을 제공하는 콘텐츠의 개발, 방문객의 체험을 공유하게 만드는 디지털 연계 마케팅 프로그램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 도의 자연환경이 가진 자산 가치를 지역사회의 정주 여건 개선과 연결시키는 치밀한 정책적 설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강원의 역사展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