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가 직면한 인구 소멸과 초고령화 문제는 더 이상 미래의 과제가 아닌, 현재의 시급한 현실이다. 특히 횡성군 강림면처럼 60세 이상 인구 비율이 66%를 초과하는 초고령 지역에서는 복지 시스템의 사각지대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주민이 직접 이웃을 돌보는 돌봄형 마을공동체가 도에서 처음으로 출범했다는 소식은 반갑고도 의미 있는 일이다. 최근 강원마을공동체지원센터가 중심이 돼 출범한 횡성군 강림4리 돌봄형 마을공동체는 지역 주민 6명을 마을돌봄사업단으로 위촉하면서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이들은 건강 체크, 안부 확인, 안전 점검 등 다양한 돌봄 활동을 통해 고령 주민들의 일상을 세심히 보살피게 된다. 단순한 자원봉사를 넘어, 주민 스스로가 주체가 돼 복지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첫 발걸음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각별하다. 도는 이미 다수의 지역이 ‘초고령사회’ 기준을 넘어서고 있다.
일부 농산어촌 지역은 의료, 돌봄, 교통 등 사회 기반 서비스의 붕괴가 현실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기존의 행정 중심 복지 시스템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구조적 문제에 맞닥뜨린 가운데, 주민 주도의 마을공동체 모델은 대안이다. 특히 이번 사례는 복지 수혜가 아닌, 주민이 스스로 이웃을 돌보고 마을을 재건하는 ‘상호돌봄’ 모델로서 지속 가능성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즉, 행정기관 주도의 일회성 사업이 아닌, 도의 마을공동체 활성화 성장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체계적인 교육과 준비 과정이 있어 안정성과 실효성을 동시에 담보할 수 있다. 주민들의 자발적인 동참과 역량 강화가 바탕이 돼야 진정한 공동체 정신이 발현될 수 있다. 강림4리의 시도는 도의 다른 고령화 지역에도 큰 울림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벤치마킹돼야 한다.
이제는 돌봄의 개념을 공공기관만의 책무로 한정 지을 것이 아니라, 지역 전체가 함께 참여하고 협력하는 생활 속 복지로 전환해야 할 때다. 이웃을 챙기고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적 가치야말로 초고령사회를 대비하는 가장 현실적이면서도 인간적인 해법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제도적 뒷받침도 적극적으로 병행돼야 한다. 마을돌봄사업단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행정적 지원과 예산 확보는 물론, 지역 간 정보 공유와 성공 사례의 확산도 중요하다. 특히 초기 모델이 확고히 자리 잡기 위해서는 돌봄 주체들에 대한 꾸준한 교육, 상담, 멘토링 체계를 구축하고, 지역 내 의료·복지 인프라와의 연계도 강화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