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수도권 쏠림 완화를 위해 정책·민간 금융의 지역 공급을 대폭 확대하는 '지방금융 공급확대 목표제' 도입에 나서면서 강원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22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방우대 금융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방침을 밝혔다. 이에 따라 정책금융기관의 지방 자금 공급 규모는 현재보다 25조원가량 늘어난 연간 120조원 이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금융위는 내년부터 산업은행·기업은행·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 등 4대 정책금융기관에 지방금융 공급확대 목표제를 도입해 현재 40% 수준인 비수도권 자금 공급 비중을 2028년까지 45%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에 따라 정책금융기관의 지방 공급 규모는 올해 96조8,000억원에서 2028년 120조원 이상으로 약 25조원 증가하게 된다. 각 기관은 연도별 목표를 세우고, 정책금융협의회를 통해 이행 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받는다.
정책 펀드의 지방 투자도 확대된다. 150조원 규모로 조성 중인 ‘국민성장펀드’의 40%인 60조원을 지방에 배분해 첨단전략산업 중심의 지역 혁신 생태계 확산을 유도한다. 이와 관련해 지방 전용 펀드 ‘3종 패키지’도 마련됐다.
여기에 은행·상호금융·저축은행 등 민간 금융권이 지방에 더 많은 자금을 공급하도록 규제 또한 완화한다.
기업, 투자, 관련 지원금 등이 수도권에 집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같은 방침은 강원지역 기업 운영 및 창업 환경에도 긍정적으로 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6월 기준 도내 벤처기업 수는 670곳으로 전체 2만4,533곳 중 2.7% 수준에 그쳤으며, 2021년부터 올해 7월까지 조성된 모태펀드(5,235억원)의 도내 투자 금액은 1.3%에 해당하는 1,642억원이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수도권 쏠림 현상은 많은 부작용을 낳고 있다. 금융 수요자들이 '지방 우대'를 체감하고, 지역 기업들이 대한민국 성장엔진의 한 축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