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반도체 포럼]"지역-산업-대학-연구 융합 … 반도체 개발·인재 양성 중요"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주제발표1-손선영 상지대 전기전자공학과 교수
주제발표2-김영래 국립원주대 전자반도체공학부 부교수
주제발표3-서병한 (주)하이드로켐 CEO

◇30일 원주의료기기산업진흥원에서 열린 2025 강원자치도 반도체포럼에서 김영래 국립강릉원주대 교수, 손선영 상지대 전기전자공학과 교수, 서병한 (주)하이드로켐 대표, 정연웅 (주)DS테크노 이사, 우상균 원주시 투자유치과 기업유치협력관이 토론하고 있다. 신세희기자

2025 강원특별자치도 반도체 포럼 이틀차인 30일 진행된 주제발표는 지-산-학-연 융합을 통한 '반도체 산업 기틀 구축'과 '인재 양성'이 핵심 화두였다.

발표자들은 '반도체 센서 기반 환경 모니터링'과 '신소재 센서' 등 강원형 반도체 기술 현황과 가능성을 소개하며 이를 뒷받침할 인재 양성 중요성을 피력했다.

◇손선영 상지대 전기전자공학과 교수가 30일 원주의료기기산업진흥원에서 열린 2025 강원자치도 반도체포럼에서 '환경오염 대응을 위한 반도체 센서 기술개발 및 실증연구 중심의 데이터 신뢰성 확보'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신세희기자

첫 번째 주제발표에 나선 손선영 상지대 전기전자공학과(반도체·에너지공학과 겸임) 교수는 "강원의 반도체 유관 분야 특화도는 아직 낮지만 전략 육성을 통해 특화 성장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는 잠재 지역"이라고 분석했다. 또 폐광산·군부대·산업단지가 많은 도내 특성상 수질·토양 내 중금속 오염이 심한 점을 지적하며 "실시간으로 환경을 살피고 신속 대응할 수 있는 환경 반도체 센서 기술 개발이 필수적이고 현재 정보 수집·실증 계획 등이 가시화된 상태"라고 말했다.

◇김영래 국립강릉원주대 전자반도체공학부 부교수가 30일 원주의료기기산업진흥원에서 열린 2025 강원자치도 반도체포럼에서 'ICC-LAB 융합형 첨단반도체 기술혁신'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신세희기자

청년 이탈 가속화 문제의 위험성을 꼬집은 김영래 국립강릉원주대 전자반도체공학부 부교수는 "지자체의 행정·재정적 지원과 반도체 산업 관련 기업의 연구 참여, 대학과 연구소의 R&D, 인재 양성 등 다양한 요소가 어우러지면 도내 첨단 반도체 기술 혁신이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자체-대학간 협력적 동반관계 구축으로 지역 혁신·발전을 이끄는 RISE 사업의 효과를 설명한 뒤 강릉원주대가 반도체 인재 양성을 위해 갖춘 공정·실습·교육 체계를 선보이기도 했다.

◇서병한 (주)하이드로켐 CEO가 30일 원주의료기기산업진흥원에서 열린 2025 강원자치도 반도체포럼에서 'World's best catalyst&Hydrogen technology hydrochem hysers(세계 최고의 촉매와 수소 기술 하이드로켐 하이저스'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신세희기자

(주)하이드로켐 서병한 대표는 회사가 개발·운용 중인 수소안전시스템과 저농도 수소 감지 센서 등을 설명하며 필수요소인 반도체의 중요성을 설파했다.

이어 김영래 국립강릉원주대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된 패널토론에서는 서병한 대표, 정연웅 (주)DS테크노 이사, 우상균 원주시 투자유치과 기업유치협력관이 참여해 강원형 반도체 산업 발전 방향에 대해 진단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