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외국인 주민 5만 시대, ‘다문화 강원’ 준비돼 있나

강원특별자치도에 3개월 이상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 수가 5만명을 넘어섰다. 2024년 11월1일 기준으로 3개월을 초과해 강원지역에 장기 거주한 외국인 주민 수는 5만652명으로 전체 강원 인구(152만2,881명)의 3.3%를 차지했다. 전년도인 2023년(4만6,856명)보다 8.1% 늘어난 수치로 역대 최대 규모다.

특히 고성군의 경우 외국인 비율이 9.4%로 도 전체 평균을 크게 웃돌았으며, 횡성·철원·양구 등도 외국인 집중 거주지역으로 분류됐다. 장기체류 외국인 주민의 증가는 단순한 인구 통계의 변화에 그치지 않는다. 지역사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동시에 행정, 교육, 복지,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변화와 대응을 요구하는 중요한 과제이기도 하다. 도는 국내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외국인 비율을 보이고 있지만, 증가율 면에서는 전국 상위권에 속한다. 이는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농촌 지역에 외국인 노동력과 정주 인구가 일정 부분 대안을 제공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농축산업과 제조업 현장에서 활동하는 외국인 근로자, 결혼이민자, 유학생, 동포 등 다양한 이주 배경의 외국인들이 지역 곳곳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이제 강원자치도는 이들을 단기 체류 노동력으로만 바라보는 관점을 넘어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수용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통합 모델을 구상해야 할 시점에 다다랐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아직 제도적·문화적 준비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외국인 주민의 절반 이상이 3년 이내에 도를 떠나는 실정은 안정적인 정착 여건이 부족하다는 방증이다. 취업 기회의 불안정, 언어 장벽, 교육 및 의료 접근성의 한계, 차별 및 편견 등이 이들의 지역 정착을 어렵게 만든다.

특히 농촌 지역에서 외국인 비율이 높아지는 가운데, 이들에 대한 통합 정책은 여전히 행정 중심지에 치우쳐 있는 경우가 많다. 교육기관과 의료시설, 문화 프로그램, 언어 지원 등 실질적인 생활 기반이 조성되지 않으면 외국인 주민은 지역의 구성원이 되기 힘들고, 이로 인한 사회적 갈등도 배제할 수 없다. 중앙정부는 외국인 주민의 정착 지원을 지방정부와 함께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강한 실행력과 지역 실정에 맞춘 정책 설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도는 지역 특성을 반영한 다문화 정책을 선도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외국인 주민이 많은 고성·횡성·철원 등지에는 다문화지원센터 기능을 강화하고, 외국어 상담 및 법률 지원, 생활 정보 제공 체계를 갖춰야 할 때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