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산불 상시화, 지역 맞춤형 예방체계 서둘러야

올해 가을에도 강원자치도 산림은 연이어 번진 산불로 또다시 심각한 위협을 받았다. 양양과 인제에서 발생한 산불은 그 자체로 막대한 산림 피해를 남겼을 뿐 아니라, 주민들에게 심리적 불안을 가중시키며 산림 재난의 상시화 우려를 다시 한번 각인시켰다.

특히 지난 22일 양양군에서 일어난 산불은 무려 22.5㏊의 산림을 잿더미로 만들며 2001년 이후 최악의 가을철 산불로 기록됐다. 불길이 민가 인근까지 확산되자 당국은 긴급하게 5개 마을 주민 600여명에게 대피 안내 문자를 발송했다. 불과 몇 달 전인 4월에도 인제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했던 만큼, 산불은 더 이상 특정 시기의 예외적인 재난이 아니라 언제든 일어날 수 있는 상시 위험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올해 11월에만 도내에서 세 건의 산불이 났고,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을철에만 55건의 산불이 발생하며 4.10㏊의 산림이 소실됐다. 극심한 건조, 강풍, 그리고 반복되는 인재(人災)가 결합하면서 가을철 산불의 위험성은 매년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특히 도의 산불은 전국 산불의 약 40%를 차지할 정도로 발생 비중이 크고, 피해 면적도 방대하다. 이는 도가 전국에서 가장 넓은 산림 면적을 보유하고 있고, 산림과 민가가 밀접하게 맞닿아 있다는 지리적 특성과 무관하지 않다. 이번 양양·인제 산불 진화 과정에서는 다행히도 신속한 대응이 피해 확산을 막는 데 큰 역할을 했다. 350여명의 진화 인력과 25대의 헬기가 동원된 집중적인 진화 작업은 모범적인 산불 대응 사례로 평가할 만하다. 또한 지역 이장단과 유관 기관의 유기적인 협력도 인명 피해를 예방하는 데 막중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이처럼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해 진화를 성공시켰다 해도 이미 숲은 불타 사라지고 복원에는 수십 년이 걸린다는 점을 생각하면, 사후 대응보다 선제적 예방이 더욱 중요함은 자명하다.

올해 도내 가을철 산불 원인은 입산자 실화(36%),쓰레기 소각(15%), 담뱃불(5%) 등 순으로 대부분이 인위적인 요인에서 비롯됐다. 이는 곧 산불 예방의 핵심이 주민과 방문객의 인식 전환과 교육, 그리고 생활 속 실천에 달려 있음을 뜻한다. 반복되는 실화형 산불을 막기 위해서는 입산 통제 강화, 불법 소각 단속, 화기 취급 교육 등 사람 중심의 예방 시스템을 확충해야 한다. 특히 등산객이 많은 지역은 산불 취약지로 분류해 드론 및 감시 카메라 확대, AI 예찰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정밀한 감시체계로 전환해야 한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