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내 집 마련 힘들어” 강원지역 30대 무주택 가구 5년 연속 증가

도내 30대 무주택 가구 4만5,179 가구
2020년부터 증가세 이어와
30대 집주인은 전체 연령대 중 10%도 못미쳐
전문가들 "규제 강화와 더불어 합리적 가격 접근 가능한 공급정책 필요"

강원지역 30대 무주택 가구가 5년 연속으로 증가했다. 여기에 30대 주택 소유자는 역대 두 번째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지난해 강원지역에 거주하는 30대(가구주 기준) 무주택 가구는 전년대비 0.2% 늘어난 4만5,179 가구였다. 도내 30~39세 무주택가구는 2020년부터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다.

반면 서울의 30대 집주인은 전체 연령대 중 10% 미만에 그치며 저조한 값을 보였다. 같은 기간 30대 주택 소유가구는 3만311가구로 2023년(3만98명) 다음으로 가장 적은 값을 기록했다. 이는 전체 7.2%에 해당하는 값으로 30대 가구주 중 집주인은 10명 중 1명도 채 안된다는 의미다.

이와 같은 원인은 혼인이 늦어지고 1인가구가 늘어나는 가운데 과거보다 집값이 크게 오르면서 사회 초년생의 생애 첫 내 집 마련이 어려워졌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법원 등기정보광장 ‘소유권이전등기(매매) 신청 매수인 현황’을 보면 올해 1∼10월 도내 생애 첫 집합건물(아파트·오피스텔·다세대주택 등)을 구입한 30대 3,888명으로 지난해(4,555건)보다 15%가량 줄었다.

정부가 올해 내놓은 초강력 부동산 정책으로 주택시장 진입장벽이 더욱 높아졌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주택담보대출비율(LTV) 등 대출 규제 강화로 현금 부자만 내 집 마련이 가능하다는 청년층 자조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청년층은 1인가구라도 주거 안정과 자산 형성을 위한 내 집 마련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토지주택연구원에 따르면 강원지역을 포함한 전국 만 19∼39세 청년 무주택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지난해(8∼9월)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83.2%가 ‘향후 내 집 마련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청년 주거 안정을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 정책으로는 '주택 구입자금 지원'(24.3%)과 '전세자금 지원'(22.3%)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공공임대주택 공급'(18.6%), '공공분양주택 공급'(14.4%) 순이었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장도 “규제가 강화되면 청년층과 같은 무주택 실수요자들이 내집 마련하기가 쉽지 않다”며 “실수요자들이 합리적인 가격에 접근할 수 있는 공급정책도 함께 마련되야 한다”고 설명했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