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태극기' '보수-진보' 대결양상 극심
원활한 국정 위해 정치권과 연정 등 필요
새 대통령과 집권여당은 탄핵정국과 5·9 장미대선을 거치며 찢어진 대한민국을 '봉합' 해야 하는 중대한 과제를 안고 있다. 이번 선거는 사실상 대통령 탄핵을 찬성하는 '촛불세력'과 이와 정반대인 '태극기 세력'으로 갈라진 두 진영 간 이뤄진 선거였다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주요 대선 후보 5명이 막판까지 선거운동을 펼치며 다자구도 양상을 보였지만, '보수와 진보', '좌와 우' 등의 극단적 논쟁은 정점에 달했다. 결국 대선은 끝났지만 정치권은 '절대 강자 또는 절대 약자'가 없는 '여소야대 정국'으로 재편됐다.
■탄핵정국 속 보수진영의 분화=국민들이 촛불과 태극기로 갈리면서 결과적으로 전통적 보수진영은 분화됐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에 찬성한 비박(비박근혜)계 30여명은 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을 탈당하고 '개혁보수, 건전한 보수'를 가치로 삼은 바른정당을 창당했다. 새누리당에서 당명을 바꾼 자유한국당의 홍준표 후보는 선거 막판까지 흩어진 보수층을 결집하는 전략으로 대한민국을 '좌파-우파'로 나누며 색깔론 공세를 펼쳤다. 보수층의 결집 효과가 나타나자 바른정당 13명의 의원은 탈당, 한국당에 복당했다. 이로써 한국당은 총 107석(복당절차 완료 시) 원내 제2당이 됐다. 제1당인 더불어민주당(119석)과 12석 차이다. 원내 3당인 국민의당(40석), 4당인 바른정당(20석), 5당인 정의당(6석) 등으로 구조가 짜였다. 5개 정당으로 나뉜 다당제 구조에서 다른 정당의 도움 없이는 법안 통과를 위한 기준인 과반 의석(150석) 확보가 불가능하다.
■연정 등 협치 선택이 아닌 필수=새 대통령이 선출됐지만 '여소야대'라는 국회 의석 분포는 변함이 없다. 더욱이 새 대통령은 인수위원회도 꾸리지 못한 채 당선과 동시에 임기에 돌입한다. 새 정부는 원활한 국정을 위해서라도 정치권과의 협치가 불가피하다. 여와 야, 다수당과 소수당을 가리지 않고 대선 후보들이 통합 정부 구상을 경쟁적으로 밝혀 온 것도 선거 이후 이 같은 정치 구도를 고려한 것이다.
특히 새 정부 출범 이후 6개월에서 1년 사이에 새 정부에 대한 국민들의 평가가 이뤄질 것으로 정치권은 내다보고 있다. 새 정부에 국가 개혁을 바라는 국민적 열망에 부흥하기 위해서라도 협치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새 정부의 여당은 자신들과 노선이 비슷한 정당과 연정(연립정부) 등의 협치 체제를 유지하며 새 정부 국정 파트너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새 정부의 국정운영은 야권의 지나친 견제로 출범 초기부터 마비 상태에 빠질 수 있다.
홍현표기자 hphong@kw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