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내 가맹점 수 310곳 불구
고령층 많은 전통시장 다수
월 이용금액 2억원도 못미쳐
소득공제율 홍보 효과도 의문
도내에도 제로페이가 도입된 지 2개월이 지났지만 이용실적은 '제로'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의 결제 방식에 변화를 일으켜야 하는 생활밀착형 사업임에도'관 주도형' 방식으로 추진한 결과란 분석이다.
10일 강원지방중소벤처기업청에 따르면 지난 1~3월부터 도내 제로페이 가맹점 수는 310개로 도내 영세 사업체(종업원 수 5명 미만) 수가 10만여곳임을 감안하면 0.3%대 수준이다. 2개월간 도내 이용금액도 '서울시와 비슷한 수준'으로 알려졌다.
서울시는 지자체 차원에서 제로페이를 적극 도입했음에도 최근 월 이용금액이 2억원도 안 돼 전체 카드결제액의 0.0003%에 불과했다.
이는 '관 주도형 사업의 한계'로 분석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지정한 도내 제로페이 시범상가 7곳은 홍천중앙·횡성·강릉 중앙성남시장과 춘천 명동, 설악로데오거리, 원주 문화의 거리, 삼척 대학로 상점가 등으로 주로 전통시장이 포함됐다.
그러나 전통시장은 상인도, 이용객도 50대 이상 고령층이 대부분이어서 스마트폰 이용부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정부의 '가맹점 확대를 통한 이용객 확대' 방침도 현장과 안 맞는다는 지적이다.
이용객이 많아야 상가 신청도 늘어나는데 대국민 홍보나 공감대도 없이 무작정 추진 중이라는 것이다.
정부는 올해 말 종료되는 신용카드 소득공제 축소를 검토하는 동시에, 제로페이 소득공제율 40%를 적극 내세우며 결제 방식 변화를 유도한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현재 조세특례제한법상 카드공제 최저사용기준 때문에 실질적으로 제로페이만으로 신용카드를 대체하기는 힘들다는 지적이다. 카드공제가 폐지됐을 때 관련법상 연봉의 4분의1 이상을 제로페이로 써야 공제가 가능하다.
도내 전통시장상인회 관계자들은 “스마트폰 앱 화면 구성 등도 민간은행에 비해 불편한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라며 “소비자 시각에서 제도 확산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신하림기자 peace@kw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