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정부 "의료기관 입원 중인 폐렴환자들 대상으로 코로나19 조사 시행할 것"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중앙방역대책본부장 "코로나19 감시체계 확대ㆍ강화하겠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코로나19의 지역사회 감염을 차단하기 위해서 국내 의료기관에 입원 중인 일부 폐렴환자들에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검사를 시행하기로 결정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16일 정례브리핑에서 “코로나19의 지역사회 감염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대책을 계속 논의해왔다”며 “현재 병원에 입원한 폐렴환자에 대해 확인·조사하는 작업을 진행하는 것으로 방향을 잡고 있다”고 밝혔다.

이 날 정 본부장은 "호흡기학회, 감염학회와 논의하고 중앙사고수습본부에서 검토하고 있다"면서 "정리가 되면 이른 시일 내 실시할 계획"이라며 구체적인 조사 대상과 검사법에 대해 설명했다.

16일 중앙방역대책본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해외방문력과 확진자 접촉력이 확인되지 않아 감염경로가 불분명한 29번째 확진자(82세 남성, 한국인)가 발생하면서, 이미 지역사회 감염이 발생한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금까지 확진자와 접촉자를 중심으로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조사하고 감시망을 구성해왔으나, 29번째 확진자의 사례로 인해 이 범위를 벗어나 지역사회에 퍼졌을 가능성을 두고 감시체계를 확대·강화하기로 한 것이다.

정 본부장은 이에 대해 "기존에는 해외여행력을 중심으로 관리했는데, 지역사회 감염이 확대된 경우에는 많은 호흡기 환자에 대해 선별을 해야 하는 필요성이 생기게 된다"며 "이 경우 주로 입원환자나 아니면 호흡기, 중증호흡기 환자에 대한 격리와 검사를 강화하는 대응 체계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히며 코로나19 감시체계의 강화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그러면서 "지역사회 전파 가능성을 두고 앞서 의사 소견 아래 검사를 할 수 있게 사례정의를 이미 확대한 바 있다"면서 "29번 환자의 확진 사례도 바이러스성 폐렴을 놓고 역학적 연관성이 확인되진 않았지만, 응급실에서 선제적으로 진단을 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코로나19를 계절성 독감처럼 기존 호흡기 감염병 감시체계 안에 넣어 감시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이정훈 기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