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정·대한의사협회 원점 재논의
코로나 대응 의료공백 해소 이목
속보=의대 정원 확대와 공공의대 신설을 놓고 대치(본보 8월31일자 5면 보도)하던 정부 여당과 대한의사협회가 이를 원점에서 재논의하기로 합의하면서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필수의료 공백 해소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강원도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영동지역에 중환자용 병상 2개를 확충할 예정이었으나 전공의들의 진료 거부로 인해 제대로 추진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지난 4, 5일 강릉에서 발생한 코로나19 확진자는 3명으로, 모두 고령 환자군에 속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지만 중환자를 감당할 수 있는 병상은 영동지역에 전무한 실정이다. 더욱이 전공의들의 파업이 이어지면서 코로나19 대응 공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졌다.
도내에서는 약 88%의 전공의가 6일까지 파업에 참여한 것으로 집계됐으며 강원도는 지속적으로 의료기관과 협의해 영동지역 병상 확충과 중환자 이송 방법에 대해 논의할 방침이다.
한편 대한의사협회가 보건복지부와 체결한 합의안에 대해 대한전공의협의회는 자체적인 입장문을 내고 “대한의사협회 최대집 회장의 독단적인 협상 진행 과정에 절차적인 문제가 있었다는 점을 공식적으로 제기한다”며 “합의문이 어떻게 이행되는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지켜보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박서화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