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세수 급감 우려 깨고 평년보다 700억 더 걷힌 세금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도내 부동산 매매 급증 여파

코로나19로 올해 세수가 급감할 것이라는 우려를 깨고 강원도내에서 평년보다 700억원 이상의 세금이 더 걷혔다. 수도권 부동산 규제의 풍선효과로 매매가 급증하면서 최근 5년간 최대 세입을 기록 중이나, 경기에 민감한 지방소비세는 크게 줄어 앞으로의 추이가 더욱 중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강원도에 따르면 올 들어 9월 말까지 세입은 1조2,283억원으로 당초 예산 목표대비 80%의 징수율을 보이고 있다. 이는 지난 5년간 9월말 기준 평균징수액인 1조1,574억원보다 709억원이나 많다. 목표 대비 징수율 역시 최근 5년 평균(76%)보다 4% 이상 높다. 이같은 세수 확대는 부동산 시장이 주도했다. 아파트 등 부동산 거래 시 발생하는 취득세가 4,792억원이 걷혀 최근 5년간 평균 징수액(4,114억원)보다 678억원이나 증가했다.

실제 국토교통부의 조사 결과 올 9월까지 도내 아파트 누적 매매 거래량은 총 1만8,289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9,885건)과 비교해 85% 증가했다. 도는 동서고속철도 등 SOC확충에 따른 개발 기대감과 강력한 수도권 부동산 규제로 지리적으로 가까운 강원도에 투자가 몰린 점을 이유로 보고 있다. 다만 세수 급감 징조도 나타나고 있다.

지방소비세의 경우 올 9월까지 5,359억원이 걷혀 최근 5년 평균(5,476억원)보다 117억원이 줄어 5개 지방세목 중 유일하게 감소했다. 지방소비세는 국세인 부가가치세의 일부를 지방세로 전환한 것이다. 올해 부가가치세의 지방소비세 전환비율이 기존 15%에서 21%로 상향됐음에도 117억원이나 줄어든 것은 결국 소비 감소의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부동산 거래가 자연적으로 줄어들면 세수 급감으로의 전환도 불가피하다.

김상영 강원도 세정과장은 “부동산 경기에 힘입어 세입이 양호한 편이지만 하반기 경기 상황을 예의주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기영기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