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김진태 지사 당선인, ‘탕평 인사'로 도정 안정을

민선8기와 강원도(3)

유능한 인력 관리를 잘해야

자치단체 운영 능력 고려를

김진태 도지사 당선인은 선거로 인한 갈등을 해소하고 흐트러진 도정을 안정시켜 지역경제를 살리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 그러자면 인사(人事)부터 잘해야 한다. ‘탕평과 통합'으로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 인사는 만사(萬事)다. 특히 인사행정은 모든 지방자치 행정의 근본이다. 그래서 적재적소에 능력에 맞는 인사를 배치,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사기를 진작시키며, 필요시 직원들의 능력 발전을 위해 교육과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은 이 같은 이유에서다. 더욱이 지역 발전을 위한 자원이 열악한 지역일수록 주민과 지역의 경제회생을 위해 소명의식을 갖고 창의력을 발휘하는 공무원들이야말로 지역의 가장 소중한 자산이며 에너지인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자산과 에너지를 얼마만큼 최고도로 활용하느냐에 따라 지역 발전의 성패가 좌우된다.

때문에 김 도지사 당선인이 갖춰야 할 리더십 중 첫 번째가 유능한 인력을 어떻게 관리하고 활용할 줄 아는가에 있다. 그러나 민선자치가 되면서 학연과 지연에 따른 파벌인사와 선거 후 논공행상의 자기 사람 심기가 조직의 위계를 흔들어 놓고 공무원들의 사기를 떨어뜨리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즉, 인사를 둘러싼 잡음이 끊임없이 계속돼 지방자치를 멍들게 하고 있다. 물론 자치단체장의 정책 철학과 비전을 같이하는 유능한 측근들이 그를 보좌하고 정책 집행을 함께해야 일관성 있는 책임행정을 펼칠 수 있다. 그리고 연공서열과 인사 관행에 묻혀 있는 유능한 인재를 과감하게 발탁하는 것은 조직에 신선한 충격을 줘 신바람 나게 일하는 분위기를 조성한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이다. 그러나 문제는 인사의 공정성과 투명성이다. 능력 위주의 발탁인사라는 명목으로 자기 사람을 심기 위한 정실 개입의 여지를 확대하고 전문성보다는 친소관계에 따라 직위가 부여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지방행정의 경쟁력을 떨어뜨린다. 이러한 문제점이 지적되면서도 계속 되풀이되고 있는 것은 자치단체장의 제왕적 인사권을 견제하고 검증할 장치가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자치단체마다 인사위원회가 있지만 독립성이 없는 탓에 자치단체장을 견제하는 데는 태생적 한계가 있다. 그렇다고 지방의회가 이를 견제할 권한이 있는 것도 아니다. 지금 이 시점에서는 김 도지사 당선인의 인사에 대한 인식 전환이 중요하다. 우선은 당선인을 비롯, 업무 인수인계팀은 정책을 인수해야 한다. 과거 자치단체의 공과(功過)를 따져서는 곤란하다. 자치단체의 실책을 묻기 시작하면 공무원들은 입을 다문다. 그 연장선에서 김 도지사 당선인과 현직 최문순 지사와의 협조도 절실하다. 대탕평인사는 업무 인수인계팀 인선에서부터 시작돼야 한다. 선거 참모를 기용하는 데 있어선 주의해야 한다. 선거 능력과 자치단체 운영 능력은 다르다. 김 도지사 당선인은 이를 유념해야 한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