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내 대학들이 인기 학과로 여겼던 의대, 치대, 한의대에서마저 신입생 모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원 미달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는 의미다. 서동용 국회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의학, 치의학, 한의학계열 학과를 운영하고 있는 도내 대학에서도 미충원 사례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018년부터 2022년까지 강릉원주대 치의예과와 상지대 한의예과, 연세대 미래캠퍼스 의예과가 지역인재 전형 입학 비율을 맞추지 못했다. 학생들의 도내 대학 기피가 갈수록 확산되고 있다는 방증이다.
2023년도 수시모집 마감 결과도 예년과 마찬가지로 수험생들의 수도권 대학 쏠림 현상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과 경기지역 대학에 집중된 정부의 ‘반도체 인재 양성’ 정책으로 인해 수도권 대학 관련 학과의 경쟁률은 치솟은 반면 강원지역 대학 관련 학과는 직격탄을 맞았다. 각 대학과 입시업계에 따르면 지난 17일까지 원서접수를 마감한 수도권 주요 대학과 지방거점국립대 등 31개 대학의 2023학년도 수시 평균경쟁률은 16.44대1로 전년도 15.84대1에 비해 소폭 상승했다. 하지만 강원대를 포함한 전국 9개 지방거점국립대 중 7개 대학의 경쟁률은 하락했다. 의약학 계열에서도 수도권은 경쟁률이 크게 오른 반면 지방은 전년보다 낮아졌다. 이대로라면 정원 미달은 불 보듯 뻔하다.
신입생 모집은 수시에서 80%가량 이뤄진다. 정시가 남아 있지만 도내 대학의 불안감이 커질 수밖에 없다. 정원 미달은 지역소멸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걱정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각 대학은 수능 최저 기준을 조정하고, 절대평가인 영어 과목을 포함하는 등 학생 모집을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그러나 오히려 대학의 질적 하향화를 촉발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정원 미달은 지방대학 자체의 노력만으로 극복하기에는 한계에 이르렀다. 대전환이 필요하다. 지방대학의 위기는 이미 오래전부터 예고돼 왔다. 그렇지만 학령인구 감소로 변명하고 대학의 자율구조조정만 강조하는 건 결코 올바른 정책이 아니다. 정부는 수도권 대학과 비수도권 대학의 양극화를 언제까지 두고만 볼 것인가. 총체적 점검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지역대학의 몰락은 지역소멸을 앞당길 것이다. 지역대학이 조속히 살아나야 하는 이유다. 국토 균형발전 차원에서 정부는 지역대학을 중심으로 비수도권 지역이 발전할 수 있는 대책을 서둘러 추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