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 31년 만의 동해안 지진해일, 현장 중심 대책을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지난 1일 일본 도야마현에서 지진 발생으로
강릉 남항진, 묵호, 속초, 임원 등에 도달”
경각심 제고 및 대응 교육·훈련 강화해야

지진 공포에서 벗어날 수 있는 현장 중심의 실질 대책이 절실하다. 일본 도야마현에서 지진이 발생하면서 동해안에서도 31년 만에 지진해일이 관측되는 등 여파가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진해일은 지난 1일 오후 6시1분 강릉 남항진에 최대 높이 28㎝로 도달한 뒤 동해 묵호에서 85㎝, 속초에서 45㎝, 삼척 임원에서 33㎝ 등으로 관측됐다. 1983년 이후 국내에서 확인된 지진해일은 2일까지 총 3회이며, 모두 동해안 인근에서 발생했다. 동해안 지진이 심상치 않다는 얘기다.

2023년 5월15일 오전 6시27분 동해시 북동쪽 52㎞ 해역에서도 지진이 발생했다. 규모 4.5로 지난해 한반도에서 일어난 지진 가운데 가장 크다. 강원과 경북 내륙 지역 주민들까지 흔들림을 느낄 정도였다. 동해안에는 그해 4월23일부터 이날까지 규모 2.0 이상 지진이 무려 16차례 이어졌다. 바다는 단층 파악이 육지보다 어렵고, 이 지역에 지진을 유발한 응력이 얼마나 쌓여 있는지도 알 수 없다. 혹여 더 강력한 지진이 일어나더라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빈틈없는 대비 태세를 갖추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물론 지진 예측은 힘들다. 기술의 한계와 단층을 모르는 탓이 크다. 정부는 2016년 경주 지진을 계기로 이듬해 전국적인 단층 조사를 시작했으나 2036년에야 마무리된다. 국민 불안감을 감안하면 너무 더디다. 이마저도 내륙 위주라 해저 단층에 대한 정보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울릉도 남쪽 해저에 설치했던 해저지진계도 철거된 지 오래다. 해저 단층은 주변국과 공동으로라도 조사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 나가야 한다. 지진이나 지진해일 같은 재난은 최악의 가정 아래 점검해야 한다. 즉, 최악의 지진 사태를 염두에 둔 선제적인 종합 대책을 세워야 할 때다.

지진이 났을 때 행동 요령이나 대피 장소를 모르는 이도 여전히 많다. 지속적으로 안내하고, 대피소가 부족하거나 관리가 부실하지 않은지도 살펴야 한다. 재난 대비는 아무리 꼼꼼해도 지나치지 않다. 내진설계도 보강해 나가야 한다. 2023년 6월 기준 전국 건축물의 내진율은 16.4%였지만 도내 내진설계 건물은 12.9%에 불과했다. 이는 충북(14.7%), 전북(13.6%) 등 강원특별자치도와 여건이 유사한 지방자치단체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10동 중 9동은 내진설계가 돼 있지 않은 셈이다. 대형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그래서 나오고 있다. 도내 공공건축물의 경우 2만7,932동 중 3,540동에 내진설비가 갖춰져 22.5%의 내진율을 보였지만 민간건축물의 내진율은 12.4%에 그쳤다. 국가적 차원의 지진 대응 역량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지진에 견딜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은 당연하다. 사안의 심각성을 깨닫고 경각심을 제고할 수 있는 지진 대응 교육과 훈련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이는 국민의 안전과 직결된 문제이기에 더욱 그렇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